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수미산(須彌山)[교몽가 3 페이지 / 전적]

불교의 우주관에서, 세계의 중앙에 있다는 산. 꼭대기에는 제석천이, 중턱에는 사천왕이 살고 있으며, 그 높이는 물 위로 팔만 유순이고 물속으로 팔만 유순이며, 가로의 길이도 이와 같다고 함. 북쪽은 황금, 동쪽은 은, 남쪽은 유리, 서쪽은 파리(玻璃)로 되어 있고, 해와 달이 그 주위를 돌며 보광(寶光)을 반영하여 사방의 허공을 비추고 있음. 산 주위에 칠금산이 둘러섰고 수미산과 칠금산 사이에 칠해(七海)가 있으며, 칠금산 밖에는 함해(鹹海)가 있고

수미탑(須彌塔)[금강산유람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표훈사로부터 20리 정도 되는 곳에 있는 탑. 암석이 층층으로 쌓여 탑을 이룸.

수방(守方防)[자치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수령방백(守令方伯)의 준말로 수령은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며, 방백은 관찰사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수백궁水伯宮[ 1 페이지 / ]

물귀신(용왕)이 사는 궁전.

수범(垂範)[복션화음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남에게 모범을 보임.

수벽(手擗)[비틀노래 1 페이지 / 두루마리]

둘이 서로 마주 앉아 손바닥을 마주 치는 놀이.

수벽사명양안태(水碧沙明兩岸苔)[옥산가라 52 페이지 / 전적]

당나라 시인 전기의 <귀안(歸雁)> 중 한 구절. 물은 푸르고, 모래는 반짝 거리고, 양 언덕에는 이끼가 끼었는데 라는 뜻.

수벽사명양안태(水碧沙明兩岸苔)[구쟉가 14 페이지 / 전적]

푸른물 밝은 모래 양언덕에 이끼로세

수복(壽服)[한흥가라 43 페이지 / 전적]

수의(壽衣).

수복(壽服)[한흥가라 43 페이지 / 전적]

수의(壽衣).

수복(壽服)[한흥가라 43 페이지 / 전적]

수의(壽衣).

수복(壽福)[슈절자탄가 16 페이지 / 전적]

오래 살고 복을 누리는 일.

수복(壽福)[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3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래 살고 복을 누리는 일.

수복(壽福)[조심가라 20 페이지 / 전적]

오래 살고 복을 누리는 일.

수복(壽福)[슈절자탄가 16 페이지 / 전적]

오래 살고 복을 누리는 일.

수복(壽福)[조심가라 20 페이지 / 전적]

오래 살고 복을 누리는 일.

수복(壽福)[한탄가 1 페이지 / 전적]

오래 살며 길이 복을 누림.

수복(壽福)[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3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래 살고 복을 누리는 일.

수복(壽福)[고분가 20 페이지 / 전적]

오래 살고 복을 누리는 일.

수복(壽福)[고분가 20 페이지 / 전적]

오래 살고 복을 누리는 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