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수양매월(首陽梅月)[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5 페이지 / 전적]
황해도 해주에서 나오는 먹의 이름.
수양미월[감별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문방사우(文房四友)의 하나인 먹의 이름인 듯함.
수양버들(垂楊버들)[백발가(白髮歌) 2 페이지 / 전적]
버드나뭇과의 활엽 소교목(小喬木)으로 높이는 10여 미터, 잎은 어긋나고 피침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음.
수양버들(垂楊버들)[백발가(白髮歌) 4 페이지 / 전적]
버드나뭇과의 활엽 소교목(小喬木)으로 높이는 10여 미터, 잎은 어긋나고 피침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음.
수양부모(收養父母)[말이타국원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자기를 낳지는 않았으나 데려다 길러 준 부모를 이름.
수양산[팔역가(八域歌) 15 페이지 / 전적]
해주에 있는 산 이름, 백이 숙제가 죽은 중국 수양산과 이름이 같음
수양산 고사리[녁대가(녁가) 18 페이지 / 전적]
중국 은나라 때의 처사(處士)인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에 얽힌 고사. 주(周)의 무왕(武王)이 은나라를 치러 출정할 때 백이와 숙제가 말머리를 두드리며 그만두라고 하였으나 말려도 듣지 않자,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 먹다가 죽었다고 함.
수양산(首陽山)[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백이숙제가 고사리를 캐고 살았다는 산.
수양산(首陽山)[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백이숙제가 고사리를 캐고 살았다는 산.
수양산(首陽山)[화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산시 성(山西省)의 서남쪽에 있는 산. 주나라의 백이와 숙제가 절개를 지켜 은거하다가 굶어 죽은 곳.
수양산(首陽山)[잣치가라(치라) 9 페이지 / 전적]
백이와 숙제가 주나라를 피해 숨었다는 산이름.
수양산(首陽山)[거창가라 14 페이지 / 전적]
중국 산시 성(山西省)의 서남쪽에 있는 산.주나라의 백이와 숙제가 절개를 지켜 은거하다가 굶어 죽은 곳이다.
수양산(首陽山)[아림가(娥林歌) 15 페이지 / 전적]
중국 산시 성(山西省)의 서남쪽에 있는 산. 주나라의 백이와 숙제가 절개를 지켜 은거하다가 굶어 죽은 곳이다.
수양산(首陽山)[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8 페이지 / 전적]
백이(伯夷)·숙제(叔齊)가 아사(餓死)했다는 중국 산서성(山西省)에 있는 산.
수양산(首陽山)[슈양가 2 페이지 / 전적]
백이(伯夷)·숙제(叔齊)가 아사(餓死)했다는 중국 산서성(山西省)에 있는 산.
수양산(首陽山)[타미계라(라미키라) 9 페이지 / 전적]
중국 산시성[山西省] 푸저우[蒲州] 서남쪽에 있는 산.
수양산(首陽山)[퇴계 선생가라( 션가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 산시성[山西省] 푸저우[蒲州] 서남쪽에 있는 산.
수양산(首陽山)[타미계라(라미키라) 9 페이지 / 전적]
중국 산시성[山西省] 푸저우[蒲州] 서남쪽에 있는 산.
수양산(首陽山)[퇴계 선생가라( 션가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 산시성[山西省] 푸저우[蒲州] 서남쪽에 있는 산.
수양산성(首陽山城)[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24 페이지 / 전적]
황해도 해주 부근에 있는 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