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수작(酬酌)[ 1 페이지 / ]
서로 말을 주고받는 것.
수작(酬酌)[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9 페이지 / 전적]
서로 말을 주고받는 것.
수작(酬酌)[경영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서로 말을 주고받음. 또는 그 말.
수작(酬酌)[경영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서로 말을 주고받음. 또는 그 말.
수작(酬酌)[동상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서로 말을 주고받음. 또는 그 말.
수작(酬酌)[시절가 15 페이지 / 전적]
서로 말을 주고받음. 또는 그 말. 남의 말이나 행동, 계획을 낮잡아 이르는 말.
수작(酬酌)[소상팔경가 23 페이지 / 전적]
남의 말이나 행동, 계획을 낮잡아 이르는 말.
수작도(睡雀圖)[석천집(石川集二-五)2-5 172 페이지 / 전적]
숲에서 졸고 있는 새의 그림.
수잔잔(水潺潺)[초암가 5 페이지 / 전적]
물이 잔잔하게 흐름.
수장(修粧)[명륜가(明倫歌) 45 페이지 / 전적]
집이나 기구 등을 손보아 꾸밈.
수장(手掌)[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3 페이지 / 전적]
손바닥.
수재(守宰)[송강집(松江集五)5 133 페이지 / 전적]
목 부사(牧府使), 군수(郡守), 현령(縣令), 현감(縣監)등의 통칭
수재(秀才)[석천집(石川集二-三)2-3 129 페이지 / 전적]
학문, 뛰어난 사람, 또는 과거에 급제한 사람을 일컫는다. 황수재(黃秀才)는 구체적으로 누구를 말하는지 알 수 없다.
수적(手迹)[자탄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손수 쓴 글씨나 그린 그림. 또는 손수 만든 물건에 남은 자취나 흔적.
수적(手迹)[말이타국원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손수 쓴 글씨나 손수 만든 물건의 흔적.
수적(手迹)[옥산가라 57 페이지 / 전적]
손수 쓴 글씨나 그린 그림. 또는 손수 만든 물건에 남은 자취나 흔적.
수적(讎敵)[셔유곡 19 페이지 / 전적]
원수인 적.
수절(守節[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0 페이지 / 전적]
절개(節槪)를 지킴.
수절(守節[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0 페이지 / 전적]
절개(節槪)를 지킴.
수절(守節)[간양되소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정절을 지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