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수용산출(水湧山出)[명궁처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 생각과 재주가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 지음을 비유적으로 이름.

수용산출(水湧山出)[기원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나온다는 뜻으로, 생각과 재주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 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수용소(收容所)[추월감 8 페이지 / 두루마리]

많은 사람을 집단적으로 한곳에 가두거나 모아 넣는 곳.

수우(隨雨)[ 1 페이지 / ]

비를 닮다. 비와 같이

수운 증산[지리산이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수운 최제우와 증산 강일순을 일컬음.

수운(愁雲)[리행소챙가 57 페이지 / 전적]

수심에 찬 기색.

수운(需雲)[송강집(松江集三)3 30 페이지 / 전적]

음식을 가지고 연락(宴樂)을 한다는 뜻. 易 需封에「雲上於天需君子以 飲食安樂」

수운선생(水雲先生)[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23 페이지 / 전적]

동학(東學)을 창시한 최수운(崔水雲)을 가리킴.

수운정(水雲亭)[형제이회가(형이회가) 5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있는 정자. 조선 선조 15년(1582년)경에 우재 손중돈 공의 증손인 청허재 손엽 공이 건립한 정자로 "물과 같이 맑고 구름같이 허무하다"는 수청운허의 뜻을 따서 수운정이라 함.

수운정(水雲亭)[형제이회가(형이회가) 5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있는 정자. 조선 선조 15년(1582년)경에 우재 손중돈 공의 증손인 청허재 손엽 공이 건립한 정자로 "물과 같이 맑고 구름같이 허무하다"는 수청운허의 뜻을 따서 수운정이라 함.

수원 능소[팔역가(八域歌) 47 페이지 / 전적]

정조의 건릉

수원 능소[팔역가(八域歌) 47 페이지 / 전적]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융릉을 찾아갈 때 행차가 너무 느리다 라고 한 데서 지명 유래

수원(愁怨)[회혼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근심하고 원망함.

수원(水原)[비틀노래 1 페이지 / 두루마리]

경기도 수원을 말하며, 여기서는 정조(正祖)임금이 수원 근처에 화성행궁(華城行宮)을 축조한 곳을 말함.

수원수구(誰怨誰咎)[권왕가 26 페이지 / 전적]

수원숙우(誰怨孰尤).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랴’는 뜻으로, 남을 원망하거나 탓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수원수구(誰怨誰咎)[흥남세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겠냐는 뜻으로, 남을 원망하거나 탓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수원수구(誰怨誰咎)[권학가 8 페이지 / 전적]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랴의 뜻으로, 남을 원망하거나 탓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수원수구(誰怨誰咎)[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3 페이지 / 전적]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겠냐는 뜻으로, 남을 원망하거나 탓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수원수구(誰怨誰咎)[오윤가 31 페이지 / 전적]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겠냐는 뜻으로, 남을 원망하거나 탓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수원수구(誰怨誰咎)[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 페이지 / 전적]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겠냐는 뜻으로, 남을 원망하거나 탓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