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수원수구(誰怨誰咎)[별한가 3 페이지 / 전적]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겠냐는 뜻으로, 남을 원망하거나 탓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수원유수(水原留守)[옥설가라 15 페이지 / 전적]

경기도 수원을 도맡아 다스리는 정이품 외관 벼슬.

수월 도량(水月道場)[권왕가 62 페이지 / 전적]

수월관음(水月觀音)의 도량(道場). 수월관음(水月觀音) : 삼십삼 관음(三十三觀音)의 하나. 달이 비친 바다에 한 잎의 연꽃에서 모양을 한 관음. 재난을 면하기 위해 기원을 하면 영검이 있다고 함. 도량(道場) : 앞에 든 각주 721 참조. 안주(安住) : 영거(寧居). 자리 잡고 편안하게 사는 것.

수월(數月)[한흥가라 105 페이지 / 전적]

두서 달.

수월한무[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6 페이지 / 전적]

수월한묵(數月翰墨). 여러 달을 학문에 빠진다는 뜻. ‘한무’는 ‘한묵’의 잘못된 표기. 한묵(翰墨)은 문한(文翰)과 필묵(筆墨)이라는 뜻으로 학문을 한다는 말.

수월한무[탄식가라 1 페이지 / 전적]

수월한묵(數月翰墨). 여러 달을 학문에 빠진다는 뜻. ‘한무’는 ‘한묵’의 잘못된 표기. 한묵(翰墨)은 문한(文翰)과 필묵(筆墨)이라는 뜻으로 학문을 한다는 말.

수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1 페이지 / 전적]

「茱茰」― 喬木인데 山茱茰와 吳茱茰의 兩種이 있음.

수유(受由)[답사향곡(답향곡) 8 페이지 / 전적]

말미를 받음.또는 그 말미.

수유(受由)[곽씨세덕가문니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말미를 받음. 또는 그 말미.

수유간(須臾間)[녁대가(녁가) 66 페이지 / 전적]

잠깐. 삽시간. 짧은 동안.

수은(受恩)[답사향곡(답향곡) 5 페이지 / 전적]

은혜를 입음.

수은배(酬恩杯)[뎡슝샹회방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은혜(恩惠)를 갚는 술잔.

수응(酬應)[오륜가라 36 페이지 / 전적]

남의 요구(要求)에 응(應)함.

수의(垂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6 페이지 / 전적]

「垂衣」― 垂衣拱手의 略稱임. 易繫辭傳에 「堯舞垂衣裳而天下治盖取諸乾坤」이란 대문이 있음.

수의(垂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7 페이지 / 전적]

「垂衣」― 垂衣拱手의 略稱임. 易繫辭傳에 「堯舞垂衣裳而天下治盖取諸乾坤」이란 대문이 있음.

수의(壽衣)[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1 페이지 / 전적]

염습(殮襲)할 때에 시체에 입히는 옷.

수의(收議)[장씨부인역사라 12 페이지 / 전적]

의견을 모음.

수의(收議)[장씨부인역사라 12 페이지 / 전적]

의견을 모음.

수의(數議)[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8 페이지 / 전적]

수 차례 의논하다.

수의隨意[ 1 페이지 / ]

자기 뜻대로 하는 것. 뜻을 좇아서.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