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수경(瘦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1 페이지 / 전적]
「瘦勁」―書體를 말함. 杜甫의 李潮八分歌에 「苦縣光和尙骨 書貴瘦勁方通神」이란 句가 있음.
수계脩階[ 1 페이지 / ]
길게 쌓아올린 섬돌.
수고(愁苦)[권왕가 12 페이지 / 전적]
근심 걱정으로 괴로워하는 것.
수고무강(壽考無疆)[용문가라 23 페이지 / 전적]
만수무강(萬壽無疆)과 같은 말.
수괴(殊怪)한맘[남천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수상하고 괴이한 맘.
수괴(殊怪)한맘[남천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수상하고 괴이한 맘.
수괴(羞愧)[경노의심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창피하고 부끄러움.
수교(受敎)[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20 페이지 / 전적]
임금의 명령을 받는 것.
수교(手巧)[금강산유람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손재주.
수교전심(修敎傳心)[초암가 5 페이지 / 전적]
교리를 닦아 마음으로 서로 전함.
수구[옥룡자이기론 56 페이지 / 전적]
혈에서 보아 물이 최종적으로 빠지는 지점을 가리킨다
수구(水口)[로인가 17 페이지 / 전적]
물을 끌어 들이거나 흘려 내보내는 곳. 또는 풍수지리에서, 득(得)이 흘러간 곳.
수구(水口)[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물을 끌어 들이거나 흘려 내보내는 곳.
수구(水口)[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물을 끌어 들이거나 흘려 내보내는 곳.
수구(水口)[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물을 끌어 들이거나 흘려 내보내는 곳.
수구(水口)[한양가라 7 페이지 / 전적]
물을 끌어들이거나 흘러 내보내는 곳으로 풍수지리에서는 득(得)이 흘러가는 곳으로 본다.
수구(水口)[평지행룡(平地行龍) 2 페이지 / 전적]
물이 흘러나오는 아가리, 입구.
수구(水口)[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 페이지 / 전적]
물이 흘러나오는 아가리, 입구.
수구(水口)[셔유곡 15 페이지 / 전적]
풍수지리에서, 득(得)이 흘러간 곳.
수구(水溝)[유회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물도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