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수단(手段)[춘몽가(츈몽가) 12 페이지 / 전적]

중국 동진(東晉)의 서예가.중국 고금(古今)의 첫째가는 서성(書聖)으로 존경받고 있다.해서 ·행서 ·초서의 각 서체를 완성함으로써 예술로서의 서예의 지위를 확립.예서(隸書)를 잘 썼고, 당시 아직 성숙하지 못하였던 해 ·행 ·초의 3체를 예술적인 서체로 완성한 공적이 있으며, 현재 그의 필적이라 전해지는 것도 모두 해 ·행 ·초의 3체에 한정되어 있음.오늘날 전하여 오는 필적만 보아도 그의 서풍(書風)은 전아(典雅)하고 힘차며, 귀족적인 기품이 높음.

수단(手段)[여행록이라(여녹이라) 6 페이지 / 전적]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한 방법.또는 그 도구.일을 처리하여 나가는 솜씨와 꾀.

수단(手段)[춘몽가(츈몽가) 12 페이지 / 전적]

일을 처리하여 나가는 솜씨와 꾀.

수단(繡緞)[금강산유람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수놓은 것같이 짠 비단.

수단(脩短)[황남별곡(黃南別曲) 20 페이지 / 전적]

길고 짧음을 지칭하는 용어.

수단화(水丹花)[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2 페이지 / 전적]

연화(蓮花). 연꽃.

수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0 페이지 / 전적]

獺報本」- 禮記月令에 「孟春之月 東風解凍 蟄虫始振 魚上泳「獺祭魚」라 하였고, 䟲에 「이때에 고기가 肥美하여 獺이 장차먹게 되므로 먼저 제사하는 것이니 역시 報本의 義다」라 하였음.

수달(溪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52 페이지 / 전적]

「獺祭」-禮記 日令에「魚上冰 獺祭魚」라는 대문이 있는데 高誘註「獺이 鯉魚를 잡아서 水邊에 두고 四面으로 陳列하므로 世人이 獺祭라 이른다」하였음. 그래서 報本에 비유하여 引用됨.

수달(秀達)[신힁가라 20 페이지 / 전적]

뛰어나게 우수함.

수달이냐[효자가 2 페이지 / 전적]

족제비과에 속하는 동물로 강 기슭이나 늪 가에 굴을 파고 서식하는데 유럽, 북아프리카, 인도, 아시아 중북부에 살고 있다. 물론 한국도 서식지며 '삼국유사'에도 수달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 모피는 목도리나 외투의 깃으로 쓰이며 털은 붓을 만드는데 애용된다. 수구(水拘)라고도 한다.

수당(壽堂)[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2 페이지 / 전적]

‘수실(壽室)’과 같은 말로 살아 있을 때에 미리 만들어 놓은 무덤.

수당(隋唐)[옥셜화답 3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수나라와 당나라. 수나라(581∼618)는 양견(楊堅, 文帝)이 581년 북주(北周)의 정제(靜帝)로부터 양위받아 개창한 나라로서, 589년 남조(南朝)인 진(陳)을 멸망시켜 중국의 통일왕조를 이룩하였다. 38년이라는 단명 왕조였으나, 남북으로 갈라져 있던 중국을 오랜만에 하나의 판도에 넣어 진(秦)·한(漢)의 고대 통일국가를 재현하였고, 뒤를 이은 당(唐)이 중국의 판도를 더욱 넓혀 대통일을 이룩하는 데 기반이 되었다는 점에서 존립의의가 크다

수당혜(繡唐鞋)[김씨효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수놓은 비단으로 신울을 만든 당혜.

수당혜도[효부가 17 페이지 / 전적]

당초무늬 수를 놓은 가죽신의 일종.

수대[ 1 페이지 / ]

물방아

수대水碓[ 1 페이지 / ]

물방아

수대완도(水帶莞島)[그리져리구경하고 36 페이지 / 전적]

바닷물에 섬 완도가 띠처럼 떠 있음.

수덕(修德)[안심경찰가 5 페이지 / 전적]

덕을 닦음.

수덕(水德)[옥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오행 가운데 물에 상응하는 왕자의 덕.

수덕문(修德文)[창덕가2 74 페이지 / 전적]

1862(철종 13) 최제우(崔濟愚)가 지은 글.『동경대전(東經大全)』에 수록되어 있음.최제우가 그동안 교인들을 가르쳐온 경험에 비추어 교인들이 덕을 닦는 올바른 방법을 제시한 글.1862년(철종 13)에 지었다고 하며 문체는 시에 가까움.내용은 먼저 유가의 선비들이 덕을 닦던 것과 그 덕이 전하여온 경위, 최제우 자신의 가계를 말하고 40세가 되도록 이루어놓은 것이 별로 없음을 탄식하면서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고 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