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수령(守令)[시절가 15 페이지 / 전적]
고려ㆍ조선 시대에,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절도사, 관찰사, 부윤, 목사, 부사, 군수, 현감, 현령 따위를 이름.
수령(守令)[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4 페이지 / 전적]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절도사, 관찰사, 부윤, 목사, 부사, 군수, 현감, 현령 등이 있다.
수령(守令)[호남가라 2 페이지 / 전적]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절도사, 관찰사, 부윤, 목사, 부사, 군수, 현감, 현령 등이 있다.
수령방백[은삭가 4 페이지 / 전적]
수령은 고려 ‧ 조선 시대에,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즉 절도사, 관찰사, 부윤, 목사, 부사, 군수, 현감, 현령 따위를 이름. 각 도의 으뜸 벼슬. 방백은 관찰사를 말하는데 조선시대에 둔, 각 도의 으뜸 벼슬.
수령방백[은삭가 4 페이지 / 전적]
수령은 고려 ‧ 조선 시대에,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즉 절도사, 관찰사, 부윤, 목사, 부사, 군수, 현감, 현령 따위를 이름. 각 도의 으뜸 벼슬. 방백은 관찰사를 말하는데 조선시대에 둔, 각 도의 으뜸 벼슬.
수령방백(守令方伯)[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3 페이지 / 전적]
수령은 고을을 다스리는 지방관이며, 방백은 관찰사를 말함.
수령방백(守令方伯)[자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수령은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며, 방백은 관찰사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수령방백(守令方伯)[자치가 3 페이지 / 전적]
수령은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며, 방백은 관찰사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수령방백(守令方伯)[자치가 13 페이지 / 전적]
수령은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며, 방백은 관찰사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수령방백(守令方伯)의 준말.[잣치가라(치라) 20 페이지 / 전적]
수령은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며, 방백은 관찰사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수로(修路)[신힁가라 15 페이지 / 전적]
길게 이어진 길. 또는 먼 길.
수로(水路)[사친가2(思親歌(二)) 12 페이지 / 전적]
물길. 또는 뱃길.
수로문(水路門)[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7 페이지 / 전적]
대동강 가에 있던 문.
수로문(水路門)[차운 8 페이지 / 전적]
대동강가에 있던 문.
수로왕(首露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7 페이지 / 전적]
가야의 시조(始祖)(?~199). 일명 수릉(首陵). 하늘로부터 김해의 구지봉에 내려와 육 가야를 세웠다는 여섯 형제의 맏이로, 김해 김씨의 시조이다.
수로왕(首露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4 페이지 / 전적]
가야의 시조(始祖)(?~199)로 일명 수릉(首陵)이라고 한다. 하늘로부터 김해의 구지봉에 내려와 육 가야를 세웠다는 여섯 형제의 맏이로, 김해 김씨의 시조이다. 재위 기간은 42~199년이다.
수뢰(受耒)[사군가(事君歌) 3 페이지 / 전적]
받아들임.
수륙대장(水陸大將)[자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바다와 육지의 군사력을 통솔하는 대장군.
수륙대장(水陸大將)[소상팔경가 8 페이지 / 전적]
바다와 육지의 군사력을 통솔하는 대장군.
수륙대장(水陸大將)[자치가 9 페이지 / 전적]
바다와 육지의 군사력을 통솔하는 대장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