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셩이[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4 페이지 / 전적]

성색(聲色)이. 말소리와 얼굴 빛.

셩 것을 상하며[복션화음록 18 페이지 / 전적]

성한 것은 본디 온전한 것. 상?다는 상(尙)하다, 높이다의 뜻. 온전한 것(올바른 것)을 높이며.

셰시가[ 1 페이지 / ]

지내시는가.

솃털갓치[상사곡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새털같이. 새의 터럭 같이 많다는 말이다.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5 페이지 / 전적]

「蘇老泉三峯」―老泉은 蘇洵의 號인데, 일찌기 木假山記를 지어 三峯을 말하여 隱然中 자기 三父子에게 비한 바 있다. 즉「予見中峯 魁岸踞肆 意氣端重 若有以服其旁之二峯 二峯者 莊栗刻削 凛乎不可犯 雖其勢 服於中峯 而岌然決無阿附意」하였음.

[석천집(石川集二-一)2-1 26 페이지 / 전적]

霽의 田單이 牛尾에 불을 지르고 角端에 창칼을 묶어 燕軍을 공격한 고사를 인용한 말

[팔역가(八域歌) 32 페이지 / 전적]

임금이 거처하는 임시 궁궐

소 발자국에 괸 물과[석천집(石川集二-二)2-2 24 페이지 / 전적]

‘소 발자국에 괸 물에는 한 자 되는 잉어가 없다.[牛蹄之涔, 無尺之鯉]‘ <<회남자>> <숙진훈(叔眞訓)>

소(所)할말[칠석가 4 페이지 / 전적]

하고자 하는 바의 말.

소(沼)[도리산화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연못.

소(沼)[도리산화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연못.

소(沼)[자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늪.

소(沼)[동국조선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늪 또는 연못.

소(沼)[합강정가(合江亭歌) 4 페이지 / 전적]

① 늪. 땅바닥이 우묵하게 뭉떵 빠지고 늘 물이 괴어 있는 곳. ② 호수보다 물이 얕고 진흙이 많으며 침수(沈水) 식물이 무성한 곳.

소(疏)[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상소(上疏).

소(疏)[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상소(上疏).

소(疏)[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상소문.

소(笑)로한가[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웃을 수 있는가.

소(笑)로한가[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웃을 수 있는가.

소가야(小伽倻)[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5 페이지 / 전적]

육가야(六伽倻) 가운데 신라 유리왕 19년(42)에 경상남도 고성군 부근에 세워진 나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