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세세원정(歲歲原情)[자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해를 끊이지 아니하고 계속 사정을 하소연함.
세세원정(細細原情)[이별가라 6 페이지 / 전적]
자세하게 사정을 하소연함.
세세유전(世世遺傳)[용담가라 3 페이지 / 전적]
대대로 길이 전하여 남긴다.
세세정곡(細細情曲) 설화(說話)[회경가 21 페이지 / 전적]
간곡한 정을 자세히 말함
세세정답[자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사정을 자세히 쓴 답장.
세세창성(世世昌盛)[별한가 25 페이지 / 전적]
대(代)마다 기세가 크게 일어나 잘 뻗어 나감.
세세히[자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자세히.
세세히[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자세히.
세세히[벽천가 28 페이지 / 전적]
자세히.
세세히[형제붕우소회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자세히.
세쇄사정(細瑣事情)[도슈샤 3 페이지 / 전적]
자세하고 자질구레한 사정.
세수(歲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6 페이지 / 전적]
조상으로부터 자손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대(代)의 수.
세수작갱(洗手作羹)[사친가2(思親歌(二)) 10 페이지 / 전적]
손을 깨끗이 씻고 밥상에 올릴 국을 마련하는 일.
세시(歲時)[고분가 14 페이지 / 전적]
설, 한해의 절기나 달, 계절에 따른 때.
세시(歲時)[고분가 14 페이지 / 전적]
설, 한해의 절기나 달, 계절에 따른 때.
세시복납(歲時伏臘)[명륜가(明倫歌) 17 페이지 / 전적]
설·삼복(三伏)·납향(臘享)을 아울러 이르는 말.
세시복납(歲時伏臘)[복션화음록 4 페이지 / 전적]
설과 삼복(三伏)과 납향(臘享).
세시복랍(歲時伏臘)[향음주례가 5 페이지 / 전적]
설날과 삼복 및 납일, 좋은 절기를 이름.
세시복랍(歲時伏臘)[고분가 14 페이지 / 전적]
설, 삼복(三伏), 납향(臘享)을 아울러 이르는 말.
세시복랍(歲時伏臘)[고분가 14 페이지 / 전적]
설, 삼복(三伏), 납향(臘享)을 아울러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