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성효(誠孝)[칠여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효성(孝誠). 마음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정성.
성후(醒後)[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2 페이지 / 전적]
술이 깬 후.
성후(醒後)[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2 페이지 / 전적]
술이 깬 후.
성훈(聖訓)[ 1 페이지 / ]
성인이나 임금의 교훈.
성훈(聖訓)[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1 페이지 / 전적]
성인이나 임금의 교훈.
성훈(聖訓)[리행소챙가 23 페이지 / 전적]
성인이나 임금의 교훈.
성희안(成希顔)[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5 페이지 / 전적]
조선(朝鮮) 시대(時代) 11대 중종(中宗) 때의 공신(功臣). 자는 우옹(愚翁), 호는 인재(仁齋). 본은 창녕(昌寧). 연산주(燕山主) 10(1504)년에 이조참판(吏曹參判)이 되었으나, 시를 지어 임금의 횡포(橫暴)를 풍간(諷諫)하다가 좌천, 뒤에 박 원종(朴元宗)ㆍ유 순정(柳順汀) 등(等)과 함께 연산주(燕山主)를 폐(廢)하고 중종(中宗)을 임금으로 추대(推戴), 그 공으로 창산 부원군(昌山府院君)에 봉함을 받고 영의정(領議政)이 됨. 시호(諡號
성희안(成希顔)[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7 페이지 / 전적]
조선 중종 때의 문신(1461~1513). 자는 우옹(愚翁). 호는 인재(仁齋). 연산군 때에 이조 참판으로 왕의 횡포를 풍자하는 시를 지어 좌천되었으나, 중종반정을 성공적으로 이끈 공으로 창산군(昌山君)에 봉하여지고, 후에 영의정이 되었다.
성희월명(星稀月明)[석촌별곡 12 페이지 / 전적]
별이 성기고 달이 밝음.
섶〔薪〕이 다하면 불이 전하여[송강집(松江集三)3 19 페이지 / 전적]
薪窮火傳 莊子 養生篇에 「指窮於爲薪火傳也」
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2 페이지 / 전적]
「珠樹」―美材를 비유하여 말함. 唐王劇, 王勔, 王勃 兄弟 세사람이 다 才名이 드러나니 杜易簡이 일컬어 三珠樹라 하였음.唐書藝文志에 보임.
세[팔역가(八域歌) 26 페이지 / 전적]
아마 앞에 탈락한 자가 있는 듯, 다른 본에는 8자가 있음
세 개의 화살[석천집(石川集二-四)2-4 63 페이지 / 전적]
中國 唐나라의 薛仁貴가 세 개의 화살로 세 사람을 쏘아 天山을 平定했다는 고사에서 인용한 말.
세 번이나 팔뚝 꺾였네[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0 페이지 / 전적]
살아가며 많은 고난을 겪은 것을 말함.《春秋左傳 定公 十三年》에 ‘세 번이나 팔뚝을 꺾였으니 좋은 의사가 되었음을 알 수 있도다.‘ 하였다.
세 성인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50 페이지 / 전적]
「三聖」― 堯, 舜, 禹를 말함. 論語 堯日篇에 「堯日咨爾舜 天之 曆數 在爾躬 允執其中」이라 하였고, 書經 大禹謨에 「人心惟危道心惟微 惟精惟 一允執厥中」이라 했는데, 이는 舜이 禹에게 傳授한 것임
세(細)모시[붕우들아춘회굑 1 페이지 / 두루마리]
올이 가늘고 고운 모시.
세가랑비[비틀노래 1 페이지 / 두루마리]
가랑비와 같은 뜻.
세간[계녀사라 10 페이지 / 전적]
집안 살림에 쓰는 온갖 물건.
세간[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3 페이지 / 전적]
집안 살림에 쓰는 온갖 물건.
세간[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8 페이지 / 전적]
집안 살림에 쓰는 온갖 물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