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세의(世誼)[북쳔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대대로 사귀어온 정(情).

세의(世誼)[옥단춘전이라 4 페이지 / 전적]

대대로 사귀어 온 정(情).

세인(世人)허물[궁월가라 8 페이지 / 전적]

세상 사람들의 흉.

세일[옥셜화답 11 페이지 / 전적]

서일(曙日)의 오기인 듯함. ‘서일’은 아침 무렵의 해를 말함.

세자동궁(世子東宮)[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3 페이지 / 전적]

세자는 왕위를 이을 왕자를 말하며, 동궁은 ‘태자궁’이나 ‘세자궁’을 달리 이르던 말로 태자나 세자가 거처하는 곳이 궁궐의 동쪽에 있던 데서 유래함.

세자재왕(世自在王)[권왕가 12 페이지 / 전적]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전신으로서, 사십팔원(四十八願)을 세우고 출가한 법장 비구(法藏比丘)의 스승. 세간을 잘 살피어 중생을 구한 사람임.

세자재왕(世自在王) 여래(如來)[권왕가 13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146과 147 참조.

세적(世嫡)[별교사(별교) 3 페이지 / 두루마리]

대를 이을 자식.

세전(歲前)[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4 페이지 / 전적]

세안. 설을 쇠기 전.

세전(歲前)[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0 페이지 / 전적]

설을 쇠기 전.

세정[소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세정(世情). 세상 사람들의 마음. 세상의 실정.

세정(世情)[자책가(가) 11 페이지 / 전적]

속된 세상 물정

세정(世情)[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81 페이지 / 전적]

「不世情」―唐人詩에 「年年點檢人間事 惟有東風不世情」의 句가 있음

세정(世情)[종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세상 인심.

세정(細情)[후원초당 봄이듯이 2 페이지 / 두루마리]

자세한 사정이나 형편. 자상하고 자잘한 정이라는 '잔정'과 비슷한 말.

세정변태(世情變態)[근농가(勤農歌) 5 페이지 / 전적]

세상의 사정이나 형편이 달라짐.

세정변태(世情變態)[경세가(警世歌) 1 페이지 / 전적]

세상의 사정이나 형편이 달라짐.

세제(稅制)[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7 페이지 / 전적]

조세에 관한 제도.

세조[한양가라 28 페이지 / 전적]

세조

세조(世祖)[가야희인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상.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