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세조(世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9 페이지 / 전적]

조선 제7대 왕(1417~1468). 휘는 유(瑈). 자는 수지(粹之). 군호는 수양 대군. 국방, 외교, 토지 제도 및 관제의 개혁과 개편 따위에 업적을 남겼으며 ≪국조보감≫, ≪경국대전≫ 따위의 서적을 편찬하였다. 저서에 ≪석보상절≫이 있다. 재위 기간은 1455~1468년이다.

세조대왕(世祖大王)[한양가라 28 페이지 / 전적]

세조대왕(世祖大王)

세존 석가(世尊 釋迦)[권왕가 45 페이지 / 전적]

석가 세존(釋迦世尊). 석가모니를 높이어 이르는 말. 세존(世尊) : 앞에 든 각주 26 참조. 석가(釋迦) : 석가모니(釋迦牟尼)의 준말. 성(姓)은 고타마. 이름은 싯다르타. 세계 사성인(四聖人)의 하나로서 불교의 개조(開祖).

세존 석가여래(世尊 釋迦如來)[권왕가 50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26과 532 참조.

세존(世尊)[권왕가 30 페이지 / 전적]

석가세존의 준말. 앞에 든 각주 26 참조.

세존(世尊)[권왕가 33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26 참조. 대법왕(大法王) : 석가여래를 크게 높이어 이르는 말. 법왕(法王) : 법(法)을 설하는 주왕(主王)이라는 뜻으로 석가여래를 높이어 이르는 말.

세존(世尊)[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7 페이지 / 전적]

석가세존(釋迦世尊).

세존(世尊)[연행별곡(연별곡) 17 페이지 / 전적]

석가세존(釋迦世尊).

세존(世尊) 대법왕(大法王)[권왕가 4 페이지 / 전적]

석가세존(釋迦世尊)이신 대승(大乘)의 왕. 세존(世尊) : 석가세존(釋迦世尊)의 준말. 불세존(佛世尊). 석가모니를 높이어 이르는 말. 대법(大法) : 대승(大乘)의 별칭. 후기 불교에서 소승(小乘)과 더불어 두 가지 큰 유파 중의 하나. 이타 구제(弛惰救濟)의 입장에서 널리 인간 전체의 평등과 성불(成佛)을 주 장하여, 그것이 부처의 가르침이라고 주장하는 입장.

세종(世宗)[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5 페이지 / 전적]

「周世宗」- 五代의 周王로 姓은 柴, 이름은 榮이요 太祖后 柴氏의 兄子인데 書史를 通達하고 治才가 있었다. 太祖를 繼立하여 秦隴을 取하고 淮石을 평정시켜 위엄이 夷夏에 떨쳤으며또 禮樂을 닦고 制度를 定하여 後世에 法이 될만했으며 평생에 崇儒斥佛하여 일체 國內 寺刹을 廢하고 銅佛像을 부수어 鑄錢하였다. 在位六年에 卒하고 廟號는 世宗임.

세종(世宗)[한흥가라 20 페이지 / 전적]

조선 제4대 왕(1397~1450). 이름은 도(祹). 자는 원정(元正). 집현전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였고, 훈민정음을 창제하였으며, 측우기ㆍ해시계 따위의 과학 기구를 제작하게 하였다. 밖으로는 6진(鎭)을 개척하여 국토를 확장하고, 쓰시마(對馬) 섬을 정벌하여 왜구의 소요를 진정시키는 등 조선 왕조의 기틀을 튼튼히 하였다. 재위 기간은 1418~1450년이다.

세종(世宗)[한흥가라 20 페이지 / 전적]

조선 제4대 왕(1397~1450). 이름은 도(祹). 자는 원정(元正). 집현전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였고, 훈민정음을 창제하였으며, 측우기ㆍ해시계 따위의 과학 기구를 제작하게 하였다. 밖으로는 6진(鎭)을 개척하여 국토를 확장하고, 쓰시마(對馬) 섬을 정벌하여 왜구의 소요를 진정시키는 등 조선 왕조의 기틀을 튼튼히 하였다. 재위 기간은 1418~1450년이다.

세종(世宗)[한흥가라 20 페이지 / 전적]

조선 제4대 왕(1397~1450). 이름은 도(祹). 자는 원정(元正). 집현전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였고, 훈민정음을 창제하였으며, 측우기ㆍ해시계 따위의 과학 기구를 제작하게 하였다. 밖으로는 6진(鎭)을 개척하여 국토를 확장하고, 쓰시마(對馬) 섬을 정벌하여 왜구의 소요를 진정시키는 등 조선 왕조의 기틀을 튼튼히 하였다. 재위 기간은 1418~1450년이다.

세종(世宗)[한양가라 19 페이지 / 전적]

조선 제4대 왕(1397~1450)으로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였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다. 측우기, 해시계 등 과학 기구를 제작하게 하였으며, 밖으로는 6진(鎭)을 개척하여 국토를 확장하였다.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하여 왜구의 소요를 진정시키는 등 조선 왕조의 기틀을 튼튼히 하였다.

세종대왕(世宗大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9 페이지 / 전적]

조선(朝鮮) 제4대 왕(재위(在位) 1418∼1450). 휘(諱) 도(孕). 자 원정(元正). 시호(諡號) 장헌(莊憲).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로 원경(元敬) 왕후(王后) 민씨(閔氏) 소생. 비(妃)는 청천(靑川) 부원군(府院君) 심온(沈溫)의 딸 소헌(昭憲) 왕후(王后).

세진진애 산경호(洗盡塵埃 山更好)[황남별곡(黃南別曲) 10 페이지 / 전적]

세상의 먼지와 티끌을 남김없이 씻어내니 산의 풍광이 다시 좋아지는 구나.

세찬가(歲饌價)[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5 페이지 / 전적]

설에 세배하러 온 사람들을 대접하는 음식값.

세초(細草)[ 1 페이지 / ]

애기풀

세출 세간(世出世間)[권왕가 45 페이지 / 전적]

세간으로부터 출세간하는 일. 출세간(出世間) : 생멸(生滅) 변화하는 미(迷)의 세계에서 벗어나 해탈의 경계에 들어가는 것. 세간(世間) : 중생이 서로 의지하며 사는 세상.

세태인정(世態人情)[명륜가(明倫歌) 3 페이지 / 전적]

세상(世上) 물정(物情)과 백성(百姓)의 인심(人心).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