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생생화육(生生化育)[제주여행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천지 자연이 만물을 끊임없이 생육함.

생생화화( 生生化化)[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1 페이지 / 전적]

새 생명을 살게 하고 교화를 더해 나감.

생생화화( 生生化化)[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1 페이지 / 전적]

새 생명을 살게 하고 교화를 더해 나감.

생선 삶음[석천집(石川集二-五)2-5 55 페이지 / 전적]

노자(老子)의 「治大國者若烹小鮮」에 나온 말로써 작은 생선을 부서지지 않게 조심하여 삶는다는 뜻. 이는 곧 나라를 다스리는 데도 너무 번거로운 법령을 쓰지 말고 될 수 있는 대로 자연에 맡기라는 말.

생선건물(生鮮乾物)[사친가2(思親歌(二)) 4 페이지 / 전적]

식용 대상이 되는 물고기를 말린 것. 건물(乾物) : ‘간물(乾物)’의 변한 말. 생선이나 육류를 말린 것.

생세지락(生世之樂)[낙승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세상에 태어나서 살아가는 재미.

생세지락(生世之樂)[낙승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세상에 태어나서 살아가는 재미.

생소(生疎)[제주여행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대상이 별로 대한 적이 없어 심리적으로 멀게 느껴지거나 서먹함을 느끼는 상태에 있음.낯설음, 어떤 사물이 익숙하지 못하여 서투름.

생소고악(笙蕭高樂)[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7 페이지 / 전적]

생(苼)과 소(蕭)의 높은 퍼지는 흥겨운 가락.

생순사안(生順死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7 페이지 / 전적]

「生順死安」- 禮記에 「生其順也 死其安也」라 하였음.

생시(生時)[한양가라 53 페이지 / 전적]

살아 있을 때.

생신(生新)[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4 페이지 / 전적]

산뜻하고 새로움.

생신(生新)하고[뎡슝샹회방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생기 있고 새롭고.

생심(生心)[합강정가(合江亭歌) 3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을 하려고 마음을 먹음. 또는 그 마음.

생심(生心)[합강정가(合江亭歌) 8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을 하려고 마음을 먹음. 또는 그 마음.

생아(生我)[경노의심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내가 태어나서.

생아(生我)하시고[삼한가라(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날 낳으시고.

생아구로(生我?勞)[명륜가(明倫歌) 21 페이지 / 전적]

나를 낳느라 애를 씀.

생아구로(生我劬勞)[청년남녀훈계가 5 페이지 / 전적]

나를 낳아 주시고 힘들여 기르심.

생아구로(生我劬勞)[청년남녀훈계가 5 페이지 / 전적]

나를 낳아 주시고 힘들여 기르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