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새비[시절가 4 페이지 / 전적]

‘새벽’의 경상도 방언

새새원정(怨情)[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2 페이지 / 두루마리]

밤새도록 원통한 마음을 풀어내다.

새새원정(怨情)[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2 페이지 / 두루마리]

밤새도록 원통한 마음을 풀어내다.

새옹(塞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60 페이지 / 전적]

「塞翁馬」-위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

새옹마(塞翁馬)[송강집(松江集二)2 169 페이지 / 전적]

이(利)가 해(害)되고 실(失)이 득(得)되며 익(益)이 손(損)되고 복(福)이 화(禍)가 된다는 말로 인간의 화복 길흉을 예측할 수 없다는 비유.

새우 수염[석천집(石川集二-二)2-2 79 페이지 / 전적]

오나라가 광주에 고을을 설치하고 등수(등修)를 자사(刺史)로 삼았다. 어떤 사람이 등수에게 말하길,‘새우의 수염(더듬이) 길이가 한 길이나 된다.‘고 했다. 등수가 그 말을 믿지 않자, 그 사람이 뒤에 동해에 가서 새우의 수염을 가져왔는데 길이가 네 길 넉 자나 되었다. 봉해서 등수에게 보여주자, 등수가 그것을 먹었다. -왕은(王隱) <<교광기(交廣記)>>

새움[장씨부인역사라 4 페이지 / 전적]

샘.

새움[장씨부인역사라 4 페이지 / 전적]

샘.

새지않는[추월감 6 페이지 / 두루마리]

쉬지 않는.

새초방[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전통 혼례 때 신랑이 신부 집에 가서 처음 드는 방.

색거(色擧)[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60 페이지 / 전적]

論語 卿黨에「色斯擧矣 翔而後集」이라는 대문에 나온 말임.

색계(色界)[권왕가 49 페이지 / 전적]

삼계(三界)의 하나. 욕계(欲界)와 무색계의 중간 세계로 재물에 대한 욕심은 없으나 색심(色心)까지는 벗지 못한 세계. 초선(初禪) : 초선천(初禪天). 욕계(欲界)의 위에 있는 색계 사선천(色界四禪天)의 하나.

색동옷[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18 페이지 / 전적]

「斑衣」-老莢子가 彩衣를 입고 춤을 추며 늙은 어버이를 즐겁게 한 故事가 있어 父母를 모신 사람에게 쓰는 말이 되었음。

색동옷[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5 페이지 / 전적]

兩親이 俱存함을 이름 小學註에 보임. 「舞綵衣」는 옛날에 老萊子는 二親을 孝奉하여 나이 七十歲에 五色의 아롱진 옷을 입고 ∝兒의 歲를 하였음.

색동옷[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26 페이지 / 전적]

「斑衣」-老莢子의 彩衣를 말함.

색랑청(色郞廳)[송강집(松江集五)5 77 페이지 / 전적]

육조(六曹)의 각 임무를 담당한 낭관(郎官)이 있는 청사.

색랑청(色郞廳)[송강집(松江集六)6 64 페이지 / 전적]

금부(禁府) 안에 있는 각계의 관속

색뢰(索賂)[구쟉가 7 페이지 / 전적]

뇌물을 찾음. 또는 뇌물을 받는다는 뜻의 ‘수뢰(受賂)’와 비슷.

색리[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54 페이지 / 전적]

감영 또는 군아(郡衙) 등의 아전.

색리(色吏)[송강집(松江集二)2 200 페이지 / 전적]

영군(營郡)의 여러 아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