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생별(生別)[만수가(만슈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살아서 헤어짐.

생별(生別)[사향곡(향곡) 6 페이지 / 전적]

생이별.살아 있는 혈육이나 부부간에 어쩔 수 없는 사정으로 헤어짐.

생불(生佛)[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2 페이지 / 전적]

살아 있는 부처라는 뜻으로, 덕행이 높은 중을 이르는 말.

생불(生佛)[로인가 16 페이지 / 전적]

살아 있는 부처라는 뜻으로, 덕행이 높은 승려를 이르는 말.

생불(生佛)[갑지녹이라 6 페이지 / 전적]

덕행이 뛰어난 중으로서, 살아있는 부처로 숭앙받는 사람.

생불(生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6 페이지 / 전적]

'살아 있는 부처' 라는 뜻으로, 부처나 다름없이 아주 덕행(德行)이 높은 중.

생불여사(生不如死)[옥단춘전이라 16 페이지 / 전적]

사는 것이 죽는 것만 못한 처지.

생비(省費)[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비용을 아껴서 줄임.

생비(省費)[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비용을 아껴서 줄임.

생사 광야(生死廣野)[권왕가 39 페이지 / 전적]

태어나서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사고(四苦)를 겪는 광야. 생사(生死) : 앞에 든 각주 165 참조. 광야(廣野) : 광원(曠原). 아득하게 너른 들.

생사 노두(生死路頭)[권왕가 40 페이지 / 전적]

생사 관두(生死關頭)를 두고 이르는 듯? 노두(路頭) : 길거리. 생사 관두(生死關頭) : 사생 관두(死生關頭). 죽느냐 사느냐의 위태위태한 고비. 관두(關頭) : 가장 중요한 지경. 고비.

생사 무상(生死無常)[권왕가 41 페이지 / 전적]

사람의 생사는 덧없음. 생사(生死) : 앞에 든 각주 165 참조.

생사 옥문(生死獄門)[권왕가 61 페이지 / 전적]

살리고 죽이고 하는 지옥의 문.

생사 장야(生死長夜)[권왕가 13 페이지 / 전적]

생사의 긴긴 밤. 생사(生死) : 인간의 사고(四苦)인 생로병사(生老病死)의 시작과 끝.

생사 장야(生死長夜)[권왕가 61 페이지 / 전적]

사고(四苦)의 시자부터 끝까지의 긴긴밤. 앞에 든 각주 165 참조.

생사(生死)[권왕가 25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165 참조.

생사(生死)[북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삶과 죽음.

생사(生死) 바다[권왕가 23 페이지 / 전적]

생사대해(生死大海)를 뜻함. 생로병사(生老病死)의 인생을 큰 바다에 비유한 말. 생사(生死) : 인생의 사고(四苦)인 생로병사(生老病死)의 시작과 끝.

생사고금(生死古今)[셩경가 6 페이지 / 전적]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삶과 죽음에 있어서.

생사고금(生死古今)[셩경가 6 페이지 / 전적]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삶과 죽음에 있어서.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