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생사고락(生死苦樂)[권왕가 26 페이지 / 전적]
삶과 죽음과 괴로움과 즐거움.
생사당[팔역가(八域歌) 47 페이지 / 전적]
살아 있는 사람을 모시는 사당
생사병사[원적가 4 페이지 / 전적]
이본에는 생로병사(生老病死).
생사윤회(生死輪廻)[권왕가 24 페이지 / 전적]
윤회생사(輪廻生死). 윤회(輪廻). 차륜(車輪)의 회전이 그지없는 것처럼 중생이 삼계 육도(三界六道)의 미혹의 세계에서 생사를 되풀이하는 일.
생사윤회(生死輪廻)[권왕가 38 페이지 / 전적]
생사유전(生死流轉). 유전윤회(流轉輪廻). 윤회생사(輪廻生死). 앞에 든 각주 292 참조.
생사장야(生死長夜)[교몽가 4 페이지 / 전적]
생사(生死)는 모든 생물이 과거의 업(業)의 결과로 개체를 이루었다가 다시 해체되는 일. 생로병사의 시작과 끝을 이름. 또 중생의 업력(業力)에 의하여서 삼계(三界) 육도(六道)의 미혹한 세계를, 태어나고 죽음을 되풀이하며 돌고 도는 일. 장야(長夜)는 가을이나 겨울의 기나긴 밤.
생사장제(生死葬祭[인여가(引轝歌) 3 페이지 / 전적]
삶과 죽음, 장례와 제사.
생사장제(生死葬祭[인여가(引轝歌) 3 페이지 / 전적]
삶과 죽음, 장례와 제사.
생사장제(生死葬祭[인여가(引轝歌) 3 페이지 / 전적]
삶과 죽음, 장례와 제사.
생사후절(生死後絶)[율국회초가(뉼국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생과 사가 끊어짐.
생사후절(生死後絶)[율국회초가(뉼국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생과 사가 끊어짐.
생사흉망(生死凶亡)[신자가(信字歌) 36 페이지 / 전적]
‘생사흥망(生死興亡)’의 오기(誤記)
생살부(生殺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6 페이지 / 전적]
살리고 죽일 사람의 이름을 적어둔 명부.
생살원찬(生殺遠竄)[명륜가(明倫歌) 50 페이지 / 전적]
살리고 죽이고 멀리 귀양보냄.
생삼사칠(生三死七)[오윤가 27 페이지 / 전적]
사람이 태어난 뒤 사흘 동안과 죽은 뒤 이레 동안이라는 뜻으로, 부정하다고 꺼리는 기간을 이르는 말.
생색(生色)[여자석별가 12 페이지 / 전적]
다른 사람 앞에 당당히 나설 수 있거나 자랑할 수 있는 체면.
생생(生生)[대동가(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생기가 왕성(旺盛)함.
생생지리(生生之理)[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9 페이지 / 전적]
모든 생물이 생기고 퍼지는 자연의 이치.
생생지리(生生之理)[무제(양신택졍하여) 15 페이지 / 전적]
모든 생물이 繁殖(번식)하여 퍼지는 자연의 이치.
생생지리(生生之理)[별한가 2 페이지 / 전적]
모든 생물이 繁殖(번식)하여 퍼지는 자연의 이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