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상향(尙饗)[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적지만 흠향하옵소서’의 뜻으로, 축문(祝文)의 맨 끝에 쓰는 말.
상향(尙饗)[회경가 21 페이지 / 전적]
얼마 안되는 적은 양이지만 흠향하라는 뜻으로 제문의 맨 마지막에 쓰이는 말
상향(桑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47 페이지 / 전적]
「桑鄕」-先鄕을 말함. 詩經 小雅 小辯에 『維桑與梓 必恭敬止라 했고 註에 『桑梓父母所植 必加恭敬』이라 했음 그래서 桑鄕 또는 梓鄕이라 칭함. 이 丁季晦는 罷職하고 故鄕인 南原으로 돌아왔기 때문임
상현(上弦) 하현(下弦) 망회삭(望晦朔)[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 페이지 / 전적]
초현(初弦). 매달 음력 7〜8일 경에 뜨는 달의 형태. 매달 음력 22〜23일 경에 뜨는 달의 형태. 음력 보름과 그믐과 초하루.
상현(象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八)8 126 페이지 / 전적]
書經 微子之命에 「惟稽古崇德象賢」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註에 「子孫이 先聖王을 象한 賢者가 있음을 이름이라」하였음.
상형(賞刑)[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포상과 형벌
상호군(上護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오위(五衛)에 속한 정삼품 벼슬. 보직이 없는 문관과 무관, 음관(蔭官)으로 채웠다.
상호만[상사곡가사(상곡가사) 6 페이지 / 전적]
상호만세(相互萬歲). 서로 긴긴 세월 복을 누림.
상홀(象笏)[사군가(事君歌) 3 페이지 / 전적]
상아로 만든 홀.
상화(相和)[거창가라 9 페이지 / 전적]
서로 잘 어울림.
상화(相和)[아림가(娥林歌) 9 페이지 / 전적]
서로 잘 어울림.
상화(霜花)[북쳔가 42 페이지 / 두루마리]
꽃같이 고운 서릿발.
상환(相換)[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8 페이지 / 전적]
서로 바꾸는 것.
상후원에[상사곡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상후원’은 음식점 이름인 듯함.
상흥사[상사곡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절 이름인 듯함.
상[상사곡이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상사(相思). 서로 그리워함.
상로되[용문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상사(相思)로되. 서로 그리며 생각하되.
상듯[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4 페이지 / 전적]
고상(高尙)한 듯.
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1 페이지 / 전적]
「丘隅」―詩經 小雅 緜蠻에「緜蠻黃鳥止于丘隅」라는 句가 있는데, 朱註에「隅는 角인데 丘隅는 岑欝의 곳이다」라 하였음.
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3 페이지 / 전적]
「止丘」- 止干丘隅의 준말임.詩經 小雅 線蠻에 「線蠻黃鳥止干丘隅」라 했고 그 註에「丘隅는 安息의 곳이라」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