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상통(上通)[심심가(尋心歌) 26 페이지 / 전적]

윗사람에게 의사(意思)를 통하는 일.

상통(上通)[심심가(尋心歌) 26 페이지 / 전적]

윗사람에게 의사(意思)를 통하는 일.

상팔자(上八字)[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썩 좋은 팔자.

상편통보[은삭가 12 페이지 / 전적]

상평통보(常平通寶)임. 조선 시대에 쓰던 엽전의 이름. 인조 11년(1633)부터 조선 후 기까지 주조하여 사용함.

상편통보[은삭가 12 페이지 / 전적]

상평통보(常平通寶)임. 조선 시대에 쓰던 엽전의 이름. 인조 11년(1633)부터 조선 후 기까지 주조하여 사용함.

상평(尙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8 페이지 / 전적]

「尙平」―後漢書隱逸傳에는 向長字는 子平으로 되었는데 朝歌人이요 隱居不仕하였다. 建武中에 男女娶嫁가 畢하자 家事는 상관하지 않고 北海사람 禽慶과 함께 五嶽名山에 노닐어 그 所終處를 알지 못했다. 그래서 俗稱이 男女婚嫁事를 들어 尙平의 願이라 이름.

상품 왕생(上品往生)[권왕가 56 페이지 / 전적]

극락 왕생의 아홉 가지 계급 가운데 극락정토의 최상급.

상풍(霜風)[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7 페이지 / 두루마리]

서리가 내릴 때 부는 찬바람.

상풍霜楓[ 1 페이지 / ]

서리 맞은 단풍.

상풍패습(常風悖習)[명륜가(明倫歌) 64 페이지 / 전적]

일상의 풍속과 못된 관습.

상하(上下其職)[창덕가2 61 페이지 / 전적]

상하의 그 직분.

상하(上下其職)[창덕가2 62 페이지 / 전적]

상하의 그 직분.

상하(床下)[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1 페이지 / 전적]

상 아래서.

상하동치(上下同治)[명륜가(明倫歌) 45 페이지 / 전적]

임금과 신하가 다스림에 함께 함.

상하분별 귀찮다고 무법천지 어이할고[자심운수가(심운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양반과 상인의 제도를 폐지한 것과 예의범절이 없어진 것.

상하분의(上下分義)[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7 페이지 / 전적]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각각 제 분수에 알맞게 지켜나가는 도리.

상하채[환무자탄가 19 페이지 / 전적]

윗집 아랫집.

상하평전(上下平田)[자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높고 낮은 곳에 있는 평평한 땅.

상학(上學)[명륜가(明倫歌) 18 페이지 / 전적]

학교에서 그날의 공부를 시작함.

상할듯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6 페이지 / 전적]

「如傷」-孟子 離婁篇에「文王視民如傷 望道而未之見也」라는 대문이 있는데 이에 대한 趙註에「視民如傷이란 말은雍容하여童謠하지 않게 한다는 뜻이다」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