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상림원(上林苑)[이별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장안(長安)의 서쪽에 있었던 어원(御苑). 진(秦) 나라 시황제(始皇帝)가 창설하였다는데, 그 안에 36원(苑) 12궁(宮) 25관(觀)을 두고 진기한 동물이나 여러 초화(草花)를 모았다고 함.

상림원(上林苑)[아림가(娥林歌) 39 페이지 / 전적]

중국 장안(長安)의 서쪽에 있었던 궁원(宮苑). 진나라 시황제가 건설하고, 한나라 무제가 증축하였다. 그 안에 36원(苑), 12궁(宮), 25관(觀)을 두고 진기한 동물이나 여러 가지 화초를 길렀다.

상림원(上林苑)[아림가라 2 페이지 / 전적]

중국 장안(長安)의 서쪽에 있었던 궁원(宮苑). 진나라 시황제가 건설하고, 한나라 무제가 증축하였다. 그 안에 36원(苑), 12궁(宮), 25관(觀)을 두고 진기한 동물이나 여러 가지 화초를 길렀다.

상림원(上林苑)[녁대가(녁가) 45 페이지 / 전적]

중국 진(秦)·한(漢) 대의천자(임금)의 동산 이름. 원(苑)이란 주위에 담을 두르고 그 안에 새나 짐승 등을 기르는 곳을 말함. 상림원은 진대에도 있었으나 황폐하였기 때문에 무제(武帝)가 이를 수복하여 확장시켰음.

상림원(上林苑) 기러기가 편지를 전한단[녁대가(녁가) 4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충신 소무(蘇武)에 얽힌 고사. 소무는 무제(武帝) 때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다가 그곳에 억류되었는데, 그의 서신을 발목에 맨 기러기가 상림원에서 화살에 맞아서 떨어져 소식이 알려졌고, 이에 19년 만에 귀국할 수 있었음.

상마(桑麻)[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8 페이지 / 전적]

「桑麻雨露」-第九曲歌에 『九曲將窮眼豁然 桑麻雨露見平川 漁郞更覔桃源路 除是人間別有天』이라 했는데 이는 學者에게 學問의 차서를 밝힌 노래임.

상마우로(桑麻雨露)[황남별곡(黃南別曲) 10 페이지 / 전적]

상마에 맺힌 이슬.

상말(常-)[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5 페이지 / 두루마리]

점잖지 못하고 상스러운 말.

상말(常-)[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5 페이지 / 두루마리]

점잖지 못하고 상스러운 말.

상망(相望)[셔유곡 3 페이지 / 전적]

서로 바라봄.

상망(相望)[합강정가(合江亭歌) 9 페이지 / 전적]

서로 바라봄.

상면(相面)[오륜가라 31 페이지 / 전적]

서로 만나서 얼굴을 마주 봄.

상면(相面)[오륜가라 23 페이지 / 전적]

서로 만나서 얼굴을 마주 봄.

상면(相面)[가사소리 23 페이지 / 전적]

서로 만나서 얼굴을 마주 봄.

상명지통(喪明之痛)[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29 페이지 / 두루마리]

아들이 죽은 슬픔.

상묘 의식(上妙衣食)[권왕가 8 페이지 / 전적]

으뜸가는 의복과 음식. 상묘(上妙) : 앞에 든 각주 48 참조.

상무동(上舞童)[쌍옥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풍물놀이에 나오는 무동의 우두머리. 어른의 어깨 위에서 춤을 춘다.

상문(傷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0 페이지 / 전적]

술가(術家)가 점치는 '팔문' 가운데의 하나. 구궁(九宮)의 삼벽(三碧)이 본 자리가 되는 흉한 문 임.

상미(嘗味)[시양병가(侍養病歌) 2 페이지 / 전적]

맛 보기 위(爲)하여 조금 먹어봄.

상박(桑濮)[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9 페이지 / 전적]

「桑濮」- 禮經 樂記에「桑間濮上之音 亡國之音也」라 하였고 漢書 地理志에「衛地有桑間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