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상사지회(相思之懷)[흥비가 2 페이지 / 전적]

서로 생각하며 그리워하는 마음.

상사지회(相思之懷)[붕우들아춘회굑 4 페이지 / 두루마리]

서로 생각하는 마음.

상사쳬요[상사곡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상사체(常事體)요. 예사(例事)로 하는 일의 모양. 일상사(日常事)요.

상사한들[복션화음록 25 페이지 / 전적]

상사(喪事)난들.

상산(商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6 페이지 / 전적]

「商山四皓」- 泰의 末世에 陳留人 東園公 唐秉, 綺里季 吳實,齊人 夏黃公崔廣, 用里先生 周術이 亂을 避하여 商雒山에 들어가 紫芝歌를 부르며 세상을 잊으니, 사람들이 商山四皓라 일컬었다. 陶淵明의 「集聖賢羣輔錄」에 나타나 있음.

상산(商山)[거창가라 17 페이지 / 전적]

사호선생(四皓先生)이 진시황 때의 난리를 피하여 들어갔다는 산.

상산(商山)[아림가(娥林歌) 18 페이지 / 전적]

사호선생(四皓先生)이 진시황 때의 난리를 피하여 들어갔다는 산.

상산(商山)의 네 늙은이[녁대가(녁가) 43 페이지 / 전적]

상산사호(商山四皓)를 가리킴. 한(漢) 고조(高祖) 때 세상의 어지러움을 피하여 섬서성(陝西省) 상산(商山)에 들어가 숨은 네 사람의 은사(隱士). 곧 동원공(東園公)·기리계(綺里季)·하황공(夏黃公)·녹리선생(甪里先生)을 말함.

상산(尙山)[한양가라 63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상주시.

상산관(商山館)[셔유곡 1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관아 건물로, 1982년 2월 24일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157호로 지정. 객사는 사신들의 숙소로 사용되며, 임금을 상징하는 궐패(闕牌)인 전패(殿牌)를 모시고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에 대궐을 향하여 의식을 행하던 곳.

상산사호[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01 페이지 / 전적]

진(秦) 나라 때 산중에 숨어살던 동원공(東園公), 하황공(夏黃公), 녹리선생(甪里先生), 기리계(綺里季) 등 네 노인.《廣韻》

상산사호(商山四晧)[별한가 39 페이지 / 전적]

중국 진시황 때 세상의 어지러움을 피하여 상산(商山)에 들어가 숨은 네 은자. 동원공(東園公)·하황공(夏黃公)·기리계(綺里季)·각리선생(角里先生) 등 네 사람인데, 모두들 수염과 눈썹이 백색이기 때문에 호(皓)라 함.

상산사호(商山四皓)[초당춘수곡 7 페이지 / 전적]

한(漢) 고조 때 세상의 어지러움을 피하여 상산(섬서성 동쪽에 있는 산)에 숨은 4명의 백발 노인.

상산사호(商山四皓)[애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한나라 고조 때 세상의 어지러움을 피하여 상산에 숨은 네 사람의 백발노인. 곧 동국공(東國公), 하황공(夏黃公), 녹리선생(甪里先生), 기리계(綺里季).

상산사호(商山四皓)[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한나라 고조 때 세상의 어지러움을 피하여 상산에 숨은 네 사람의 백발노인. 곧 동국공(東國公), 하황공(夏黃公), 녹리선생(甪里先生), 기리계(綺里季)

상산사호(商山四皓)[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4 페이지 / 전적]

「商山西皓」―漢의 隱士 東園公 綺里季 夏黃公 角里先生을 말함. 이들은 秦의 亂을 避하여 商雒山에 숨어살았음.

상산사호(商山四皓)[화전가1 8 페이지 / 전적]

晉나라 시황제 때, 상산(商山)에 들어가서 숨은 네 사람. 동원공(東園公), 기리계(綺里季), 하황공(夏黃公), 각리(角里) 선생을 이른다. 호(皓)란 본래 희다는 뜻으로, 이들이 모두 눈썹과 수염이 흰 노인이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상산사호(商山四皓)[화전가2 9 페이지 / 전적]

晉나라 시황제 때, 상산(商山)에 들어가서 숨은 네 사람. 동원공(東園公), 기리계(綺里季), 하황공(夏黃公), 각리(角里) 선생을 이른다. 호(皓)란 본래 희다는 뜻으로, 이들이 모두 눈썹과 수염이 흰 노인이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상산사호(商山四皓)[헌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진(秦)나라 때 학정을 피해 상산(商山)에 숨어살았던 4사람의 은사(隱士)를 말함. 동원공(東園公)·하황공(夏黃公)·기리계(綺里季)·녹리선생(甪里先生) 등 진(秦)나라 은사(隱士) 네 사람은 은둔(隱遁)하여 바둑이나 두고 한가롭게 세월을 보냈다고 하는데, 모두들 수염과 눈썹이 백색이기 때문에 호(皓)라 함.

상산사호(商山四皓)[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중국 진(秦)나라 때 학정을 피해 상산(商山)에 숨어살았던 4사람의 은사(隱士)를 말함. 상산(商山)은 중국 산동성(山東省) 환대현(桓臺縣) 동남(東南) 50리에 있는 산명(山名). 사호(四皓) 즉, 동원공(東園公)·하황공(夏黃公)·기리계(綺里季)·녹리선생(甪里先生) 등 진(秦)나라 은사(隱士) 네 사람은 은둔(隱遁)하여 바둑이나 두고 한가롭게 세월을 보냈다고 하는데, 모두들 수염과 눈썹이 백색이기 때문에 호(皓)라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