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상원(上元)[사친가1(思親歌(一)) 2 페이지 / 전적]

음력 정월 보름날. 대보름날. 명절의 하나로, 이날엔 예로부터 장수를 빌어 약밥을 먹고, 귀밝이술을 마시며, 이를 튼튼히 하고 부스럼을 예방하는 뜻으로 부럼을 깨물고, 더위를 팔로 다니며, 다리 밟기를 하며, 저녁에는 달맞이를 하는 등 지방에 따라 각종 세시풍속 행사가 행해져 왔음.

상원(上元)[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4 페이지 / 전적]

음력 정월 보름날.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임.

상원(上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26 페이지 / 전적]

「上元」-正月 十五日을 말함. 白六帖에 「正月十五日 爲上元」이라 하였음.

상원(上元)[기수가 4 페이지 / 전적]

대보름날.

상원가절(上元佳節)[당산조션가 4 페이지 / 전적]

음력 정월 보름께의 좋은 계절.

상원가절(上元佳節)[당산조션가 5 페이지 / 전적]

음력 정월 보름 날 즈음.

상원갑(上元甲)[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7 페이지 / 전적]

좋은 운으로 새롭게 시작하는 시대.

상원갑(上元甲)[도슈샤 1 페이지 / 전적]

좋은 운으로 새롭게 시작하는 시대.

상원갑자(上元甲)[춘산채지가(春山采之歌) 8 페이지 / 전적]

상원갑자(上元甲子). 음양설에서, 시대 변화의 큰 단위로 잡는 세 묶음의 육십갑자 가운데 첫째 육십갑자의 60년. 한 시대가 시작하는 단계로 본다.

상원수(上元帥)[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2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출정하는 군대를 통솔하던 대장.

상위(上位)[신도가(臣道歌) 3 페이지 / 전적]

①높은 지위(地位) ②윗자리.

상위(相位)[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9 페이지 / 전적]

재상의 지위.

상유(桑楡)[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5 페이지 / 전적]

「桑楡」―해가 장차 저녁이 되면 桑楡의 사이에 있으므로 빌려서 西方을 稱함.後漢書 馮異傅에「始雖垂翅回谿 終能奮翼黽池 可謂失之東隅 收之桑楡」라 하였음

상유(桑楡)[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1 페이지 / 전적]

「桑楡」-해가 질때는 그 빛이 항상 桑楡의 위에 머물러 있으므로 西方을 빌려 稱하는 동시에 晩年을 비유하기도 함. 後漢書馮異傳에「失之東隅 收之桑楡」라 하였음.

상육(上肉)[입추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쇠고기의 안심과 등심.

상육(象陸)[후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쌍륙(雙六). 주사위를 이용한 오락의 한 가지. 여러 사람이 편을 갈라 차례로 두 개의 주사위를 던져서 나오는 사위대로 말을 써서 먼저 궁에 들여보내는 놀이.

상육도 더져보고[복션화음록 4 페이지 / 전적]

상윷도 던져보고. 윷놀이를 말한다.

상육도 저보고[효봉구고치산가 6 페이지 / 전적]

상윷도 던져보고의 뜻인듯.

상육치기[쳥츈상심곡(쳥츈심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1에서 6까지 적어놓은 분판에 삿짝(주사위)을 던져 말을 움직이는 놀이.

상응(相應)[유소가 9 페이지 / 전적]

서로 응하거나 어울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