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상여(相如)[녁대가(녁가) 46 페이지 / 전적]
사마상여(司馬相如).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 자는 장경(長卿). 그의 사부(辭賦)는 한(漢)ㆍ위(魏)ㆍ육조(六朝) 문인의 모범이 되었음. 작품에 〈자허지부(子虛之賦)〉가 있음.
상여도……벽뿐이었네[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38 페이지 / 전적]
상여는 사마상여 (司馬相如)이다.《史記 司馬相如傳》에 ‘탁왕손(卓王孫)의 딸 탁문군 (卓文君)이 밤에 상여에게 도망해서 같이 집에 돌아가니 네 벽만 있었다.‘는 말이 있다.
상여의 벽[석천집(石川集二-二)2-2 183 페이지 / 전적]
한나라 문장가 사마상여의 집이 가난해서, 집에는 네 벽 밖에 없었다.
상엽(霜葉)[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6 페이지 / 전적]
서리를 맞아 단풍이 든 잎.
상엽(霜葉)[석천집(石川集二-五)2-5 169 페이지 / 전적]
서리를 맞아 붉게 된 나뭇잎. 홍엽(紅葉).
상엽(霜葉)[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3 페이지 / 두루마리]
서리 맞은 잎
상엽(霜葉)[추풍감곡(秋風感曲) 4 페이지 / 전적]
가을 날 서리 맞은 잎
상엽홍어(霜葉紅於)[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서리맞은 잎이 붉다.
상엽홍어(霜葉紅於)[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서리맞은 잎이 붉다.
상엽홍어이월화(霜葉紅於二月花)[화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 두목(杜牧)의 시구(詩句)로 서리 맞은 낙엽이 이월 봄꽃보다 더 붉구나라는 뜻.
상엽홍어이월화(霜葉紅於二月花)[창덕가2 94 페이지 / 전적]
서리 맞은 잎은 2월의 꽃보다 붉다는 뜻.
상엽홍어이월화(霜葉紅於二月花)[창덕가2 95 페이지 / 전적]
서리 맞은 잎은 2월의 꽃보다 붉다는 뜻.
상영(湘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64 페이지 / 전적]
「湘靈鼓瑟」― 湘靈은 즉 湘君인 데 위에 보임.
상완(賞玩)[별교사(별교) 2 페이지 / 두루마리]
물건이나 경치 따위를 흥미나 관심으로 보고 즐김.
상왕(上王)[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자리를 물려주고 들어앉은 임금을 이름.
상왕(上王)[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자리를 물려주고 들어앉은 임금을 이름.
상왕(上王)[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자리를 물려주고 들어앉은 임금을 이름.
상왕(上王)[한양가라 9 페이지 / 전적]
자리를 물려주고 들어앉은 임금을 이르는 말.
상왕주(商王紂)[효성가라 4 페이지 / 전적]
중국 상(商)나라 마지막 임금인 주(紂). 폭군으로서 주나라 무왕의 공격을 받아 스스로 불에 타 죽었다고 함.
상원(上元)[관등가(觀燈歌) 2 페이지 / 전적]
음력 정월 보름날. 대보름날. 명절의 하나로, 이날 장수를 빌어 약밥을 먹 고, 귀밝이술을 마시며, 이를 튼튼히 하고 부스럼을 예방하는 뜻으로 부럼을 깨물고, 더 위를 팔로 다니며, 다리 밟기를 하며, 저녁에는 달맞이를 하는 등 지방에 따라 각종 세시풍속 행사가 행해져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