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상산사호(商山四皓)[헌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진(秦)나라 때 학정을 피해 상산(商山)에 숨어살았던 4사람의 은사(隱士)를 말함. 동원공(東園公)·하황공(夏黃公)·기리계(綺里季)·녹리선생(甪里先生) 등 진(秦)나라 은사(隱士) 네 사람은 은둔(隱遁)하여 바둑이나 두고 한가롭게 세월을 보냈다고 하는데, 모두들 수염과 눈썹이 백색이기 때문에 호(皓)라 함.

상산사호(商山四皓)[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중국 진(秦)나라 때 학정을 피해 상산(商山)에 숨어살았던 4사람의 은사(隱士)를 말함. 상산(商山)은 중국 산동성(山東省) 환대현(桓臺縣) 동남(東南) 50리에 있는 산명(山名). 사호(四皓) 즉, 동원공(東園公)·하황공(夏黃公)·기리계(綺里季)·녹리선생(甪里先生) 등 진(秦)나라 은사(隱士) 네 사람은 은둔(隱遁)하여 바둑이나 두고 한가롭게 세월을 보냈다고 하는데, 모두들 수염과 눈썹이 백색이기 때문에 호(皓)라 함.

상산사호(商山四皓)[춘산채지가(春山采之歌) 9 페이지 / 전적]

중국 진(秦)나라 말기에 난리를 피하여 상산(商山)에 살던 동원공(東圓公), 하황공(夏黃公), 녹리선생(甪里先生), 기리계(綺里季)를 가리킴. 이들이 모두 눈썹과 머리카락이 희었다는데서 붙여진 명칭임.

상산사호(商山四皓)[화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진(秦)나라 말기에 난리를 피하여 상산(商山)에 살던 동원공(東圓公), 하황공(夏黃公), 녹리선생(甪里先生), 기리계(綺里季)를 가리킴. 이들이 모두 눈썹과 머리카락이 희었다는데서 붙여진 명칭임.

상산사호(商山四皓)[옥설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진시황 때에 난리를 피하여 섬서성(陝西省) 상산(商山)에 들어가서 숨은 네 사람. 동원공, 기리계, 하황공, 녹리 선생(甪里先生)을 이름. 호(皓)란 본래 희다는 뜻으로, 이들이 모두 눈썹과 수염이 흰 노인이었다는 데서 유래.

상산사호(商山四皓)[자치가라 20 페이지 / 두루마리]

진시황 때 섬서성 상산에 은거하던 동원공, 기리계, 하황공, 각리선생을 말함.

상산사호(商山四皓)[쳥츈상심곡(쳥츈심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진대 말기에 난세를 피하여 산시성 상산에 숨은 동원공(東園公), 하황공(夏黃公), 용리선생(用里先生), 기리계(綺里季) 등 4인의 노고사(老高士)를 말한다. 수염과 눈썹이 모두 희기 때문에 사호(四皓)라 한다. 약초캐기와 바둑으로 소일함.

상산사호(商山四皓)[청춘사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진시황 때에 난리를 피하여 산시 성(陝西省) 상산(商山)에 들어가서 숨은 네 사람인 동원공, 기리계, 하황공, 각리를 말함.호(皓)란 본래 희다는 뜻으로, 이들이 모두 눈썹과 수염이 흰 노인이었다는 데서 유래함..

상산사호(商山四皓)[자치가 22 페이지 / 전적]

진시황 때 섬서성 상산에 은거하던 동원공, 기리계, 하황공, 각리선생을 말함.

상산사호(商山四皓)[옥단춘전이라 28 페이지 / 전적]

중국 진시황 때에 난리를 피하여 산시 성(陝西省) 상산(商山)에 들어가서 숨은 네 사람. 동원공, 기리계, 하황공, 녹리 선생(甪里先生)을 이름. 호(皓)란 본래 희다는 뜻으로, 이들이 모두 눈썹과 수염이 흰 노인이었다고 함.

상산에 큰사람[역대가라(역가라) 9 페이지 / 전적]

상산(常山)에 담력이 큰 사람. 조운(趙雲)이 상산 출신이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한때 조운이 조조 군대의 함정에 빠졌는데, 조운의 책략과 큰 담력으로 적을 무찔렀기 때문에 유비가 그의 담력을 칭찬했다.

상산읍(尙山邑)[한흥가라 64 페이지 / 전적]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尙州).

상산읍(尙山邑)[한흥가라 64 페이지 / 전적]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尙州).

상산읍(尙山邑)[한흥가라 64 페이지 / 전적]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尙州).

상살(相殺)[권왕가 48 페이지 / 전적]

서로 죽이는 것.

상상(上庠)[송강집(松江集一)1 173 페이지 / 전적]

신분이 귀한 자가 들어가 배우는 학교. 禮記 王制篇에「有虞氏養國老 干上庠養庶老干下庠」

상상(相相)[도리산화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서로서로.

상상(相相)[도리산화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서로서로.

상상(相相)[한별곡 15 페이지 / 전적]

서로 서로.

상상고(上上古)[옥셜화답 6 페이지 / 전적]

아주 오래 전 옛날, 즉 고대의 치세가 태평스러웠던 시절.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