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상대(相對)[츅친서라 5 페이지 / 전적]

서로 마주 대하다.

상대(霜臺)[송강집(松江集一)1 101 페이지 / 전적]

서헌부(司憲部)를 이름.

상대기(喪大記)[송강집(松江集三)3 111 페이지 / 전적]

예기편명(禮記篇名).

상대여빈(相對如賓)[명륜가(明倫歌) 53 페이지 / 전적]

서로 마주함이 빈객과 같음.

상대여빈(相對如賓)[헌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상대편을 손님처럼 극진히 대함.

상대여빈(相對如賓)[헌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상대편을 손님처럼 극진히 대함.

상덕(上德)[합강정가(合江亭歌) 13 페이지 / 전적]

웃어른에게서 받는 은덕.

상덕사(尙德祠)[환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도산서원의 묘우(廟宇)로 퇴계와 그의 제자인 월천의 위패를 모셔놓은 사당.

상덕사(尙德祠)[환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도산서원의 묘우(廟宇)로 퇴계와 그의 제자인 월천의 위패를 모셔놓은 사당.

상동(上冬)[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초겨울. 음력 시월.

상락주(桑落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0 페이지 / 전적]

「桑樂酒」-桑落은 물이름임. 水經河水註에「河東郡民으로 劉白墮라는 사람이 있어 釀酒를 잘하는데 河流를 採挹하여 芳酒를 醞成하면 王公으로부터 庶友들까지 서로 이끌고 招待하며 매양 索郞이라 이른다.

상량(上樑)[도덕가라 3 페이지 / 전적]

마룻대. 용마루 밑에 서까래가 걸리게 된 도리.

상량문(上樑文[인여가(引轝歌) 13 페이지 / 전적]

상량식을 할 때에 상량을 축복하는 글.

상량문(上樑文[인여가(引轝歌) 13 페이지 / 전적]

상량식을 할 때에 상량을 축복하는 글.

상량문(上樑文[인여가(引轝歌) 13 페이지 / 전적]

상량식을 할 때에 상량을 축복하는 글.

상량문(上樑文)[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10 페이지 / 전적]

「上梁文」-집을 建立할 때의 頌祝文인데 兒郞偉의 三字는 上梁時의 助聲으로 六 朝時代에 시작되었음。

상량문(上樑文)[연행별곡(연별곡) 8 페이지 / 전적]

상량식을 할 때에 상량을 축복하는 글.

상련(相連)[환무자탄가 22 페이지 / 전적]

서로 잇대는 것.

상령(湘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73 페이지 / 전적]

「湘靈」―湘妃의 靈을 말함。위의 「湘靈鼓瑟」註에 상세히 나타나 있음。

상례(喪禮)[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4 페이지 / 전적]

상(喪)을 당하여 상중에 행하는 모든 예절.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