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상각[신힁가라 6 페이지 / 전적]
전통혼례식을 할 때 신랑의 아버지나 신부의 아버지가 사돈집에 가는 것을 일컬음. 상각상은 신랑집에서 결혼식 후에 신부아버지가 오면 밥상을 차려 식사를 대접하는 것을 일컬음.
상간양불염(相看兩不厭)[ 1 페이지 / ]
이 구는 중국 당唐나라 때 이백李白의 독좌경정산獨坐敬亭山이란 시의 제3행과 일치한다.
상감(上監)[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1 페이지 / 전적]
임금을 높여 부르는 말.
상감(上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4 페이지 / 전적]
임금의 높임말.
상강(湘江)[석천집(石川集二-一)2-1 134 페이지 / 전적]
舜의 二 妃가 舜이 蒼梧에서 죽자 바라보고 피눈물을 뿌려 대나무가 斑竹이 되었다는 고사를 인용한것.
상강시(霜降時)[권왕가 60 페이지 / 전적]
24절기의 하나인 상강절(霜降節)인 때. 또는 서리가 내리는 때.
상강우행(湘江雨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5 페이지 / 전적]
「湘江」―즉 瀟湘江임.
상객(上客)[사친가2(思親歌(二)) 7 페이지 / 전적]
전통 혼례에서, 신랑 또는 신부를 데리고 가는 사람. 신랑 또는 신부의 조부가 되나 그렇지 못할 경우 아버지나 백부 등이 그 역할을 맡음.
상거(常居)[벌교사(벌교) 14 페이지 / 전적]
늘 거처하는 곳.
상거(常居)[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1 페이지 / 전적]
늘 거처하는 곳.
상거(相距)[사향곡(향곡) 11 페이지 / 전적]
서로 떨어짐.떨어져 있는 두 곳의 거리.
상거(相距)[옥산가라 31 페이지 / 전적]
떨어져 있는 두 곳의 거리.
상것[사친가2(思親歌(二)) 18 페이지 / 전적]
‘상사람’의 낮춤말. 상사람 : 상민(常民). 조선 중엽 이후에 양반과 구별하여 평민을 일컫던 말.
상격(相激)[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서로 부딪침. 서로 다질림.
상격(相激)[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서로 부딪침. 서로 다질림.
상견(詳見)[명산록(名山錄) 83 페이지 / 전적]
자세히 살펴봄.
상견(詳見)[구산가(求山歌) 2 페이지 / 전적]
자세히 살펴봄.
상계종택(上溪宗宅)[환행가 17 페이지 / 두루마리]
진성이씨 퇴계종택(眞城李氏 退溪宗宅).
상계종택(上溪宗宅)[환행가 17 페이지 / 두루마리]
진성이씨 퇴계종택(眞城李氏 退溪宗宅).
상고(上古)[옥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아주 오랜 옛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