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삼팔목(三八木)[몽즁운동가 3 페이지 / 전적]

하도(河圖)에서 목(木)에 해당하는 성수(成數)와 생수(生數), 곧 3과 8을 말함.

삼팔목(三八木)[몽즁운동가 7 페이지 / 전적]

하도(河圖)에서 목(木)에 해당하는 성수(成數)와 생수(生數), 곧 3과 8을 말함.

삼팔선(三八線)[축원하온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한반도의 중앙부를 가로지르고 있는 북위 38도선. 우리 민족의 자주적 의사와는 관계없이 제2차 세계대전의 전후처리를 위해 몇몇 전승 강대국들의 군사적 편의에 따라 그어진 선으로, 6·25전쟁이 일어나기까지 우리 국토를 남북으로 갈라놓는 분단선으로 고정되었음.

삼포왜란(三浦倭亂)[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6 페이지 / 전적]

1510년(중종 5) 부산포(釜山浦) · 내이포(乃而浦) ˙ 염포(鹽浦) 등 삼포(三浦)에서 거주하고 있던 왜인들이 대마도의 지원을 받아 일으킨 난.

삼품(三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6 페이지 / 전적]

「三品」- 性의 三品을 말함.上智, 下愚와 中間을 이름, 韓愈의 性三品論이 있음.

삼풍십건(三風十愆)[석천집(石川集二-一)2-1 40 페이지 / 전적]

三風은 巫風 淫風 亂風. 十乾은 恒舞 酣歌 殉貨 殉色 恒遊 恒畋 侮聖言 逆忠直 遠耆德 比頑童 등이니 書經에 나오는 말이다

삼하(三夏)[근농가(勤農歌) 4 페이지 / 전적]

여름의 석달.

삼하(三夏)[경영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여름의 석 달.

삼하절체(三下絶體)[자치가라 24 페이지 / 두루마리]

『주역(周易)』에 나오는 말.

삼하절체(三下絶體)[자치가 27 페이지 / 전적]

『주역(周易)』에 나오는 말.

삼학도(三鶴島)[제주여행가 21 페이지 / 두루마리]

전라남도 목포 앞바다에 있던 섬.세 마리 학이 내려앉아 생겼다는 전설이 있음.지금은 방조제를 만들어 육지의 일부가 됨.

삼학사(三學士)[팔도안희가 8 페이지 / 전적]

병자호란 때 청과의 화의(和議)를 반대하고 척화(斥和)를 주장한 홍익한(洪翼漢), 윤집(尹集), 오달제(吳達濟) 세 분을 이른다. 이들을 다른 말로 척화삼학사, 병자삼학사라고도 한다.

삼학사(三學士)[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0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병자호란 때 청(淸)나라와의 화의를 반대한 세 학사인 홍익한, 윤집, 오달제를 말함. 삼학사는 결사 항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남한산성이 함락되자 선양에 잡혀가 참형됨.

삼학사(三學士)[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0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병자호란 때 청(淸)나라와의 화의를 반대한 세 학사인 홍익한, 윤집, 오달제를 말함. 삼학사는 결사 항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남한산성이 함락되자 선양에 잡혀가 참형됨.

삼학사(三學士)[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0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병자호란 때 청(淸)나라와의 화의를 반대한 세 학사인 홍익한, 윤집, 오달제를 말함. 삼학사는 결사 항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남한산성이 함락되자 선양에 잡혀가 참형됨.

삼학사(三學士)[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9 페이지 / 전적]

병자호란 때 중국 청나라에 항복하는 것을 반대한 세 사람의 학사. 홍익한·윤집·오달제를 이르는데, 모두 청나라에 붙잡혀 갔으나 끝내 굴하지 않고 저항하다가 살해되었음.

삼학사(三學士)[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병자호란 때 청(淸)나라와의 화의를 반대한 세 학사인 홍익한, 윤집, 오달제를 말함. 삼학사는 결사 항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남한산성이 함락되자 선양에 잡혀가 참형됨.

삼학사(三學士)[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병자호란 때 청(淸)나라와의 화의를 반대한 세 학사인 홍익한, 윤집, 오달제를 말함. 삼학사는 결사 항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남한산성이 함락되자 선양에 잡혀가 참형됨.

삼학사(三學士)[가사소리 7 페이지 / 전적]

병자호란 때 중국 청나라에 항복하는 것을 반대한 세 사람의 학사.홍익한ㆍ윤집ㆍ오달제를 이르는데, 모두 청나라에 붙잡혀 갔으나 끝내 굴하지 않고 저항하다가 살해되었음.

삼학사(三學士)[연행별곡(연별곡) 14 페이지 / 전적]

병자호란 때 중국 청나라에 항복하는 것을 반대한 세 사람의 학사.홍익한(洪翼漢)ㆍ윤집(尹集)ㆍ오달제(吳達濟)를 이르는데, 모두 청나라에 붙잡혀 갔으나 끝내 굴하지 않고 저항하다가 살해되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