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삼태성(三台星)[자치가 10 페이지 / 전적]
큰곰자리에 있는 자미성을 지키는 별.각각 두 개의 별로 된 상태성(上台星), 중태성(中台星), 하태성(下台星)으로 이루어져 있음.
삼태성(三台星)[춘몽가(츈몽가) 44 페이지 / 전적]
삼태성(三台星)은 국자 모양의 북두칠성의 물을 담는 쪽에 길게 비스듬히 늘어선 세 쌍의 별.서양의 큰곰자리의 발바닥 부근에 해당.태미원에 속하는 별자리.중국 천문학에서는 오리온의 허리띠를 이루는 세 별들을 28수(宿)의 하나이며, 서방 백호(白虎)의 마지막 별자리인 '삼수(參宿)'라는 별자리로 인식해 왔으며, 그 의미는 세 명의 장군들(三將軍)을 뜻함.전통적인 삼태성(三台)은 북두칠성 아래에 있는 세 쌍의 별들로 이루어진 별자리들임.
삼태육경(三台六卿)[호남가(湖南歌) 3 페이지 / 전적]
삼정승(三政丞) 육판성(六判書)를 말함.
삼태육경(三台六卿)[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2 페이지 / 전적]
삼정승과 육조 판서를 통틀어 이르던 말.
삼태육경(三台六卿)[자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정승과 육조판서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삼태육경(三台六卿)[잣치가라(치라) 3 페이지 / 전적]
삼정승과 육조판서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삼태육경(三台六卿)[소상팔경가 3 페이지 / 전적]
삼정승과 육조판서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삼태육경(三台六卿)[회혼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의 삼정승과 육조판서를 통틀어 이르던 말로 삼공육경(三公六卿)이라고도 한다.
삼태육경(三台六卿)[자치가 3 페이지 / 전적]
삼정승과 육조판서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삼태육경(三台六卿)[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4 페이지 / 전적]
삼공육경(三公六卿)과 같은 말로 조선시대에 삼정승과 육조판서를 통틀어 이르던 말이다.
삼태육경(三台六卿)[호남가라 2 페이지 / 전적]
삼공육경(三公六卿)과 같은 말로 조선시대에 삼정승과 육조판서를 통틀어 이르던 말이다.
삼태육향(三台六鄕)[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6 페이지 / 전적]
삼정승 육판서.
삼토포(三吐哺) 삼악발(三握髮)[ 1 페이지 / ]
‘일반삼토포(一飯三吐哺)’에서 말미암은 주공(周公)의 고사임. 한번의 식사 중 에 입속의 음식을 뱉고 손님맞이하기를 세 번이나 이르렀다는 데서, 신분이 높은 사람이 방문객을 성의껏 맞이하는 일을 비유한 말. ‘일목삼악발(一沐三握髮)’에서 말미암은 주공(周公)의 고사. 한번 머리 감는 중 찾아오는 사람이 있어 세 차례나 그 머리를 묶어 쥔 체 맞이했다는 데서, 어진사람이 겸손하여 남을 대하는 태도에 성의가 있음을 비유하는 말.
삼토포(三吐哺) 삼악발(三握髮)[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9 페이지 / 전적]
‘일반삼토포(一飯三吐哺)’에서 말미암은 주공(周公)의 고사임. 한번의 식사 중 에 입속의 음식을 뱉고 손님맞이하기를 세 번이나 이르렀다는 데서, 신분이 높은 사람이 방문객을 성의껏 맞이하는 일을 비유한 말. ‘일목삼악발(一沐三握髮)’에서 말미암은 주공(周公)의 고사. 한번 머리 감는 중 찾아오는 사람이 있어 세 차례나 그 머리를 묶어 쥔 체 맞이했다는 데서, 어진사람이 겸손하여 남을 대하는 태도에 성의가 있음을 비유하는 말.
삼토포(三吐哺), 삼악발(三握髮)[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0 페이지 / 전적]
‘일반삼토포(一飯三吐哺)’에서 말미암은 주공(周公)의 고사임. 한번의 식사 중에 입속의 음식을 뱉고 손님맞이하기를 세 번이나 이르렀다는 데서, 신분이 높은 사람이 방문객을 성의껏 맞이하는 일을 비유한 말, ‘일목삼악발(一沐三握髮)’에서 말미암은 주공(周公)의 고사. 한번 머리 감는 중 찾아오는 사람이 있어 세 차례나 그 머리를 묶어 쥔 체 맞이했다는 데서, 어진사람이 겸손하여 남을 대하는 태도에 성의가 있음을 비유하는 말.
삼통의 쌔이지말고[인택가(仁宅歌) 6 페이지 / 전적]
삼통에 휩싸이지 말고. 삼통은 삼통(三通)을 말한다. 삼통은 중국 제도에 관한 세 가지 책으로 당나라 두우(杜佑)의 통전(通傳), 송나라 정초(鄭樵)의 통지(通志), 송나라 마단림(馬端臨)의 문헌통고(文獻通考)인데, 이런 책에서 말하는 제도보다는 삼강오륜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삼통의 쌔이지말고[십보가(十步歌) 2 페이지 / 전적]
삼통에 휩싸이지 말고. 삼통은 삼통(三通)을 말한다. 삼통은 중국 제도에 관한 세 가지 책으로 당나라 두우(杜佑)의 통전(通傳), 송나라 정초(鄭樵)의 통지(通志), 송나라 마단림(馬端臨)의 문헌통고(文獻通考)인데, 이런 책에서 말하는 제도보다는 삼강오륜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삼파(三巴)[사친곡 5 페이지 / 전적]
후한 때 파(巴)가 들어간 세 고을로 파(巴), 파동(巴東), 파서(巴西)를 이름.
삼파(三巴)[송강집(松江集三)3 29 페이지 / 전적]
동한(東漢) 말(末)에 유장(劉璋)이 세 군(郡)을 설치하였는데 삼파(三巴)의 칭호가 처음 생겼음
삼팔목(三八木)[권션지로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하도낙서(河圖洛書)에 나오는 방위를 오행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