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삼혼칠백(三魂七魄)[시절가 7 페이지 / 전적]

삼혼과 칠백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사람의 모든 혼백을 통틀어 이르는 말.

삼화(三和)현[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21 페이지 / 전적]

원문에는 삼현(三縣)으로 나오나 이는 삼화현(三和縣)을 이르는 것 같다.

삼화(三火)[자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불교용어로 탐욕, 성냄, 어리석음의 세 가지 번뇌를 이르는 말. 번뇌가 타오르는 불처럼 심한 고통을 준다는 뜻.

삼황(三皇)[해몽가라(몽가라) 4 페이지 / 전적]

중국 전설 속 상고(上古) 시대의 제왕.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삼황(三皇)은 복희씨(伏羲氏)ㆍ신농씨(神農氏)ㆍ여와씨(女媧氏) 혹은, 천황(天皇)ㆍ지황(地皇)ㆍ인황(人皇)을 가리킴.

삼황(三皇)[ 9 페이지 / ]

고대 중국의 전설상의 세 임금-복희씨(伏羲氏), 신농씨(神農氏), 황제(皇帝) 또는 천황씨(天皇氏), 지황씨(地皇氏), 인황씨(人皇氏).

삼황(三皇)[용산세보(蓉山世寶) 13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의 전설상의 세 임금-복희씨(伏羲氏), 신농씨(神農氏), 황제(皇帝) 또는 천황씨(天皇氏), 지황씨(地皇氏), 인황씨(人皇氏).

삼황(三皇)[셔운가 7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고대(古代) 전설(傳說)에 나타난 세 임금.즉 천황씨(天皇氏), 지황씨(地皇氏), 인황씨(人皇氏) 또는 수인씨(愁人氏), 복희씨(伏羲氏), 신농씨(神農氏) 또는 복회씨, 신농씨, 황제(黃帝)의 여러 설이 있음.

삼황(三皇)[셔운가 7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고대(古代) 전설(傳說)에 나타난 세 임금.즉 천황씨(天皇氏), 지황씨(地皇氏), 인황씨(人皇氏) 또는 수인씨(愁人氏), 복희씨(伏羲氏), 신농씨(神農氏) 또는 복회씨, 신농씨, 황제(黃帝)의 여러 설이 있음.

삼황(三皇)[셔운가 7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고대(古代) 전설(傳說)에 나타난 세 임금.즉 천황씨(天皇氏), 지황씨(地皇氏), 인황씨(人皇氏) 또는 수인씨(愁人氏), 복희씨(伏羲氏), 신농씨(神農氏) 또는 복회씨, 신농씨, 황제(黃帝)의 여러 설이 있음.

삼황(三皇)[셔운가 7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고대(古代) 전설(傳說)에 나타난 세 임금.즉 천황씨(天皇氏), 지황씨(地皇氏), 인황씨(人皇氏) 또는 수인씨(愁人氏), 복희씨(伏羲氏), 신농씨(神農氏) 또는 복회씨, 신농씨, 황제(黃帝)의 여러 설이 있음.

삼황성덕(三皇聖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세 분 황제(三皇)의 거룩한 덕. 삼황(三皇)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개명공산가>에서는 ‘복희씨ㆍ신농씨ㆍ헌원씨’를 삼황(三皇)으로 보고 있음.

삼황성덕(三皇聖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세 분 황제(三皇)의 거룩한 덕. 삼황(三皇)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개명공산가>에서는 ‘복희씨ㆍ신농씨ㆍ헌원씨’를 삼황(三皇)으로 보고 있음.

삼황씨(三皇氏)[역대삼재가라 2 페이지 / 전적]

보통 삼황씨는 복희씨 여와씨 신농씨(혹은 천황씨 지황씨 인황씨).

삼황오제(三皇五帝)[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2 페이지 / 전적]

3황은 일반적으로 복희씨(伏羲氏) ·신농씨(神農氏) ·여와씨(女媧氏)를 말하며 천황(天皇) ·지황(地皇) ·인황(人皇)으로 기록하기도 한다. 5제는 황제헌원(黃帝軒轅) ·전욱고양(顓頊高陽) ·제곡고신(帝嚳高辛) ·제요도당(帝堯陶唐) ·제순유우(帝舜有虞).

삼황오제(三皇五帝)[옥셜화답 9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전설적 제왕을 말하며 이들로부터 중국 역사가 시작되었다는 설화속의 인물들. 삼황은 일반적으로 복희씨(伏羲氏)·신농씨(神農氏)·여와씨(女媧氏)를 말하며, 천황(天皇)·지황(地皇)·인황(人皇 또는 泰皇)으로 기록하기도 함. 또한 삼황 가운데 여신인 여와씨 대신 수인씨(燧人氏)와 축융씨(祝融氏)라는 이름으로 기록된 경우도 있음. 오제는 황제헌원(黃帝軒轅)·전욱고양(顓頊高陽)·제곡고신(帝嚳高辛)·제요방훈(帝堯放勳, 陶唐氏)·제순중화(帝舜重華, 有虞

삼황오제(三皇五帝)[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3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삼황과 오제를 아울러 이르는 말.

삼황오제(三皇五帝)[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0 페이지 / 전적]

중국 전설 속 상고(上古) 시대의 제왕.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삼황(三皇)은 복희씨(伏羲氏)ㆍ신농씨(神農氏)ㆍ여와씨(女媧氏) 혹은, 천황(天皇)ㆍ지황(地皇)ㆍ인황(人皇)을 가리키고, 오제(五帝)는 주로 황제(黃帝)ㆍ전욱(顓頊)ㆍ제곡(帝嚳)ㆍ당요(唐堯)ㆍ우순(虞舜)을 가리킴. 그러나 <개명공산가>에서는 ‘복희ㆍ신농ㆍ헌원’을 삼황(三皇)으로, ‘소호(少昊)ㆍ전욱(顓頊)ㆍ고신(高辛)ㆍ당요(唐堯)ㆍ우순(虞舜)’을 오제(五帝)로 보고 있음.

삼황오제(三皇五帝)[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6 페이지 / 전적]

중국 전설 속 상고(上古) 시대의 제왕.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개명공산가>에서는 ‘복희ㆍ신농ㆍ헌원’을 삼황(三皇)으로, ‘소호(少昊)ㆍ전욱(顓頊)ㆍ고신(高辛)ㆍ당요(唐堯)ㆍ우순(虞舜)’을 오제(五帝)로 보고 있음.

삼황오제(三皇五帝)[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0 페이지 / 전적]

<개명공산가>에서는 ‘복희ㆍ신농ㆍ헌원’을 삼황(三皇)으로, ‘소호(少昊)ㆍ전욱(顓頊)ㆍ고신(高辛)ㆍ당요(唐堯)ㆍ우순(虞舜)’을 오제(五帝)로 보고 있음.

삼황오제(三皇五帝)[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0 페이지 / 전적]

중국 전설 속 상고(上古) 시대의 제왕.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삼황(三皇)은 복희씨(伏羲氏)ㆍ신농씨(神農氏)ㆍ여와씨(女媧氏) 혹은, 천황(天皇)ㆍ지황(地皇)ㆍ인황(人皇)을 가리키고, 오제(五帝)는 주로 황제(黃帝)ㆍ전욱(顓頊)ㆍ제곡(帝嚳)ㆍ당요(唐堯)ㆍ우순(虞舜)을 가리킴. 그러나 <개명공산가>에서는 ‘복희ㆍ신농ㆍ헌원’을 삼황(三皇)으로, ‘소호(少昊)ㆍ전욱(顓頊)ㆍ고신(高辛)ㆍ당요(唐堯)ㆍ우순(虞舜)’을 오제(五帝)로 보고 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