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상근기(上根機)[권왕가 17 페이지 / 전적]

상근(上根). 상기(上機). 불도를 잘 닦는 사람. 앞에 든 각주 207 참조. 상품(上品) : 극락정토의 최상급. 중근(中根) : 중등(中等)의 근기(根機). 부처의 교화를 받아야 발동하는, 능력 소질이 중 정도의 사람을 이름. 하근(下根) : 도를 닦을 힘이 적은 사람.

상급(賞給)[옥단춘전이라 54 페이지 / 전적]

상을 줌.

상긋상긋[자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눈과 입을 귀엽게 움직이며 소리 없이 가볍게 자꾸 웃는 모양.

상기(相器)를 불수(不授)할지니[분별가(分別歌) 4 페이지 / 전적]

서로 그릇을 주지 아니하는 것이니.

상기도 서성대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40 페이지 / 전적]

「盤桓」-逍遙와 같은 말임. 陶潜의 歸去來辭에 『撫孤松而盤桓』이란 句가 있음.

상낙(相樂)[고분가 10 페이지 / 전적]

서로 즐기다.

상낙(相樂)[고분가 10 페이지 / 전적]

서로 즐기다.

상납(上納)[심심가(尋心歌) 4 페이지 / 전적]

나라에 조세를 바침, 또는 그 세금.

상납(上納)[심심가(尋心歌) 4 페이지 / 전적]

나라에 조세를 바침, 또는 그 세금.

상달(上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4 페이지 / 전적]

「上達」- 論語 憲問에 「君子上達 小人下達」이라 하였음.

상담(常談)[오륜가라 31 페이지 / 전적]

보통(普通)으로 쓰는 평범(平凡)한 말.

상담(湘潭[송강집(松江集六)6 14 페이지 / 전적]

초(楚)나라 굴원(屈原)이 귀양을 간 곳.

상답[나부가 4 페이지 / 전적]

자녀의 혼인에 쓰거나 뒷날에 쓰기 위해 마련해 둔 옷감.

상답[나부가 4 페이지 / 전적]

자녀의 혼인에 쓰거나 뒷날에 쓰기 위해 마련해 둔 옷감.

상답[신힁가라 3 페이지 / 전적]

자식들의 혼인에 쓰거나 훗날에 쓰기 위하여 준비하여 두는 옷감.

상답 하인(下人)[사친가2(思親歌(二)) 4 페이지 / 전적]

신부의 신행길에 상답 상자를 짊어지고 모시고 가는 종. 상답 : 자녀의 혼인 등을 위하여 미리 마련하여 둔 옷감.

상답(上畓)[무제(양신택졍하여) 8 페이지 / 전적]

땅과 물 형편(形便)이 좋아서 벼가 잘 되는 좋은 논.

상답(上答)[신힁가라 3 페이지 / 전적]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대답이나 회답을 함. 또는 그런 대답이나 회답.

상답(相答)[츅친서라 10 페이지 / 전적]

서로 호흡이 맞음.

상당(上堂)[회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가장 높은 방.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