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규심(葵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5 페이지 / 전적]

「葵心」-傾慕하는 마음이 해바라기가 해를 향하는 것과 같다는말임。司馬光 初夏詩에 「更無柳絮因風起 惟有葵花向日傾」의 句가 있음。

규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3 페이지 / 전적]

「圭庵」―宋麟壽의 字는 眉叟 號는 圭庵이요 思津人인데 文科修撰에 大司成 吏曹參判을 歷任하고 外職으로 全羅道觀察使를 하였으며 謚는 文忠임.

규양(閨養)[조심가라 31 페이지 / 전적]

규수(閨秀).

규양(閨養)[조심가라 31 페이지 / 전적]

규수(閨秀).

규양(閨養)[동상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규수(閨秀). 남의 집 처녀를 정중하게 이르는 말.

규양(閨養)[칠여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규수(閨秀). 남의 집 처녀를 정중하게 이르는 말.

규연(蘬然)[ 1 페이지 / ]

높고 크며 견고한 모양.

규장(奎璋)[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9 페이지 / 전적]

예식에서 장식으로 사용되는 귀한 옥. 고귀한 인품을 일컫는 말.

규장(奎璋)[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9 페이지 / 전적]

예식에서 장식으로 사용되는 귀한 옥. 고귀한 인품을 일컫는 말.

규장각(奎章閣)[거창가 1 페이지 / 전적]

조선 정조 즉위년(1776)에 설치한 왕실 도서관. 고종 32년(1895)에 규장원으로 고쳤다가 34년(1897)에 다시 예전 이름으로 고침. 역대 임금의 글이나 글씨 ‧ 고명(顧命) ‧ 유교(遺敎) ‧ 선보(璿譜) ‧ 보감(寶鑑) 따위와 어진(御眞)을 보관하고, 많은 책을 편찬 ‧ 인쇄 ‧ 반포하여 조선 후기의 문운(文運)을 불러일으키는 중심 역할을 하다가 1894년 갑오개혁 때 폐지 함.

규장각(奎章閣)[거창가 1 페이지 / 전적]

조선 정조 즉위년(1776)에 설치한 왕실 도서관. 고종 32년(1895)에 규장원으로 고쳤다가 34년(1897)에 다시 예전 이름으로 고침. 역대 임금의 글이나 글씨 ‧ 고명(顧命) ‧ 유교(遺敎) ‧ 선보(璿譜) ‧ 보감(寶鑑) 따위와 어진(御眞)을 보관하고, 많은 책을 편찬 ‧ 인쇄 ‧ 반포하여 조선 후기의 문운(文運)을 불러일으키는 중심 역할을 하다가 1894년 갑오개혁 때 폐지 함.

규중(閨中)[츅친서라 3 페이지 / 전적]

부녀(婦女)가 거처(居處)하는 방 또는 깊은 안방 속.

규중(閨中)[종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부녀가 거처하는 방.

규중(閨中)[율국회초가(뉼국회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부녀자가 거처하는 공간.

규중(閨中)[율국회초가(뉼국회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부녀자가 거처하는 공간.

규중(閨中)[경영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부녀자가 거처하는 곳.

규중(閨中)[긔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부녀자가 거처하는 곳.

규중(閨中)[기원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부녀자가 거처하는 곳.

규중(閨中)[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규내(閨內). 부녀자가 거처하는 곳.

규중(閨中)[동국조선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집안에서 부녀자가 거처하는 곳.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