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극간(極諫)[오륜가라 14 페이지 / 전적]
임금이나 웃어른에게 잘못된 일이나 행동을 고치도록 온 힘을 다하여 말함.
극결[오륜도덕가(五倫道德歌) 9 페이지 / 전적]
진(晉)나라의 대부
극결(?缺)[명륜가(明倫歌) 57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 진(晉)나라 사람. 일명 극성자(?成子)·기결(冀缺). 시호는 성(成). 기(冀)에서 밭을 갈 때 점심을 내온 아내와 서로 손님을 대하듯 공경하였다는 일화로 잘 알려져 있음.
극결(郤缺)[오윤가 19 페이지 / 전적]
진나라 때 극결이 밭에서 김을 매고 있을 때, 그 아내가 새참을 내왔는데 서로 공경하여 상대하기를 마치 손님 모시듯 하였다고 함.
극공(極工)[황남별곡(黃南別曲) 10 페이지 / 전적]
지극한 솜씨.
극공(極恭)[청년남녀훈계가 6 페이지 / 전적]
아주 또는 극히 공손함.
극공(極恭)[청년남녀훈계가 6 페이지 / 전적]
아주 또는 극히 공손함.
극구(隙駒)[삼한가라(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달리는 말을 문틈으로 본다는 뜻으로, 세월이 매우 빨리 지나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극귀(極貴)[벌교사(벌교) 9 페이지 / 전적]
몹시 귀함.
극귀(極貴)하니[기수가 3 페이지 / 전적]
몹시 귀하니.
극긍(棘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2 페이지 / 전적]
棘矜」-矜은 矛柄임。史記 泰始皇紀에「鉏∝棘矜 非錢於句戟長鎩也」라 했 음。
극기승옥(亟其乘屋)[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빨리 지붕을 덮다. 『맹자(孟子)』<등문공상편(滕文公上篇)>에 나온다.
극기승옥(亟其乘屋)[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빨리 지붕을 덮다. 『맹자(孟子)』<등문공상편(滕文公上篇)>에 나온다.
극낙하다[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2 페이지 / 전적]
‘극난하다’를 잘못 쓴 것임. 아주 어려운 처지.
극난(極難)[그리져리구경하고 6 페이지 / 전적]
매우 어려움.
극난(極難)[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5 페이지 / 전적]
몹시 어려움.
극난(極難)[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5 페이지 / 전적]
몹시 어려움.
극난(極難)[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7 페이지 / 전적]
몹시 어려움.
극난(極難)[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4 페이지 / 두루마리]
몹시 어려움.
극난(極難)[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4 페이지 / 두루마리]
몹시 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