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귀흥(歸興)[북쳔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집으로 돌아가는데 흥이 남.

귀흥(歸興)[북쳔가 41 페이지 / 두루마리]

돌아가는 흥.

귀거선[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귀한 것은.

규(閨)[종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규방과 같은 뜻.

규견봉(窺見峯)은[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규견봉은 규견봉(窺見峯)은 주산(主山)너머로 엿보듯이 보이는 산을 말하며, 이는 풍수학적으로 안 좋은 것임.

규견봉(窺見峯)은[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규견봉은 규견봉(窺見峯)은 주산(主山)너머로 엿보듯이 보이는 산을 말하며, 이는 풍수학적으로 안 좋은 것임.

규견봉(窺見峯)은[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1 페이지 / 전적]

규견봉은 규견봉(窺見峯)은 주산(主山)너머로 엿보듯이 보이는 산을 말하며, 이는 풍수학적으로 안 좋은 것임.

규곽(葵藿)[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4 페이지 / 전적]

「葵藿」― 두가지가 다 植物의 賤한 것이므로 下者가 上者를 대할때에 自比하는 용어임. 三國志 魏志 陳思王傳에 「若葵藿之傾葉 太陽雖不爲之回光 然向之者誠也」라 하였음. 司馬光의 初夏詩에 「更無柳絮因風起 惟有葵花向日明」이란 句가보임.

규구(䂓矩)[궁장가(宮墻歌) 3 페이지 / 전적]

규구(規矩)의 잘못된 표기인 것으로 보이며, 지름이나 선의 거리(距離)를 재는 도구(道具)나 그림쇠를 말한다.

규구(規矩)[나부가라(라부가라) 4 페이지 / 전적]

목수가 쓰는 그림죄, 자, 먹줄통 등.

규구(規矩)[부덕가(婦德歌) 3 페이지 / 전적]

규구준승(規矩準繩).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법도.

규구준승(䂓矩準繩)[궁장가(宮墻歌) 11 페이지 / 전적]

규구준승(規矩準繩)이 바른 표기이며, 목수가 쓰는 그림쇠, 자, 수준기, 먹줄을 통틀어 이르는 말, 또는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법도를 말한다.

규구준승(規矩準繩)[황남별곡(黃南別曲) 5 페이지 / 전적]

원형을 그리는 자와 방형(方形)을 그리는 자, 수평(水平)을 재는 기구와 목수가 직선을 그릴 때 쓰는 먹줄.곧 사물의 준칙(準則)을 이름.

규규갈구(糾糾葛屨)[나부가라(라부가라) 6 페이지 / 전적]

『시경』에 나오는 시편으로 엉킨 칙으로 만든 신발.

규녀(閨女)[쌍옥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규방에 있는 처녀.

규목(樛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47 페이지 / 전적]

「樛木」― 詩經 周南의 章名으로「南有樛木 葛藟纍之 樂只君子福履綏之」라 했는데, 이는 后妃가 衆妾에게 嫉妬하는 마음이 없어서, 衆妾이 그 德을 칭송한 것임.

규목(樛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0 페이지 / 전적]

「樛木」― 詩經 周南 樛木章을 말함. 이 詩는 衆妾이 后妃의 德을 아름답게 여겨 지은 것임.

규문(閨門)[오윤가 21 페이지 / 전적]

규중(閨中)과 같은 말로 부녀자가 거처하는 곳.

규문(閨門)[녹이춘유가라(록이춘유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부녀자가 거처하는 공간인 규방(閨房).

규문(閨門)[만수가(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규중(閨中)과 같은 말로 부녀자가 거처하는 공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