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구십포교[석천집(石川集二-二)2-2 27 페이지 / 전적]
(구십포는 강진)현의 남쪽 6리에 있다. 월출산에서 근원이 나와 남쪽으로 흘러 현 서쪽의 물과 합쳐져 구십포가 된다. 탐라(耽羅)의 사자가 신라에 조공할 때에 여기에다 배를 대었으므로 탐진(耽津)이라고 이름했다.(구십포는 강진)현의 남쪽 6리에 있다. 월출산에서 근원이 나와 남쪽으로 흘러 현 서쪽의 물과 합쳐져 구십포가 된다. 탐라(耽羅)의 사자가 신라에 조공할 때에 여기에다 배를 대었으므로 탐진(耽津)이라고 이름했다.(구십포는 강진)현의 남쪽 6리에 있다. 월출산에서 근원이 나와 남쪽으로 흘러 현 서쪽의 물과 합쳐져 구십포가 된다. 탐라(耽羅)의 사자가 신라에 조공할 때에 여기에다 배를 대었으므로 탐진(耽津)이라고 이름했다.
구십호광 저문고[형제붕우소회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구십호광(九十好光) 저문곳에. 좋은 봄빛 저문 곳에.
구안(具案)[자심운수가(심운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특정한 수단이나 방법 따위를 마련함.
구안지계(苟安之計[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6 페이지 / 전적]
송 고종은 휘종(徽宗)의 아홉째 아들로서 흠종(欽宗)의 뒤를 이어 10대 황제로 즉위했다. 구안지계란, 금(金)나라에 휘종, 흠종이 잡혀가고 중원(中原) 땅을 모두 빼앗기는 치욕을 당했음에도 나라의 무비(武備)가 없다하여 적극적으로 복수할 뜻을 보이지 않고 적당히 안일만을 추구하였던 것을 이르는 말.
구야(歐冶)[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2 페이지 / 전적]
「歌治子」-春秋時代 사람인데 鑄劒을 잘하여 越王은 그를 招聘하여 五劒을 만들 었는데 그 이름은 湛盧, 臣闕, 勝邪, 魚腸, 純鉤로 뒤에 또 于將까지 만들었으며 楚王을 위하여 三劒을 만들었으니 龍淵, 泰阿, 工布였음。
구양수(歐陽修)[원유가 4 페이지 / 전적]
북송시대의 정치가 문인(1007~1072). 호는 취옹(醉翁).
구양수(歐陽修)[남여동락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송나라 때의 문장(文章)과 해서(楷書)의 대가(大家). 호(號)는 취옹(醉翁).
구양수(歐陽修)[남여동락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송나라 때의 문장(文章)과 해서(楷書)의 대가(大家). 호(號)는 취옹(醉翁).
구양수(歐陽脩)[의향소창가 14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 때의 시인 학자, 호는 취옹(醉翁).
구양수(歐陽脩)[리행소챙가 8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 때의 시인 학자, 호는 취옹(醉翁).
구양수(歐陽脩, 1007-1072)[유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송(宋)나라 때의 문인.
구양수(歐陽脩, 1007~1072)[화전가2 6 페이지 / 전적]
중국 송나라 인종~신종 때의 정치가이자 문인, 학자이다. 자는 영숙(永淑), 호는 취옹(醉翁) 육일거사,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이다.
구양태수 취흥(醉興)일세.[고령가곡여자들등님곡이라(고령가곡여들등님곡이라) 2 페이지 / 전적]
구양수(歐陽脩)는 중국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자는 영숙(永叔)이고 호는 취옹(醉翁)임. 그는 저주의 태수(太守)로 있을 때 『취옹정기(醉翁亭記)』라는 글을 썼는데, 이는 저주현성 서남쪽의 낭야산에 있는 정자의 이름을 따서 지은 글임.
구어(求魚)[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물고기 잡기를 원함.
구언양은[용문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구르는 모습은.
구여장(狗與獐)[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7 페이지 / 전적]
개와 노루.
구역(區域)[망부가 5 페이지 / 전적]
갈라놓은 지역.
구연(九淵)[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51 페이지 / 전적]
「九淵龍」-賈誼의 吊屈原賦에『襲九淵之神龍兮 沕淵潛而自珍』이라 했는데 註에 『九淵은 九旋의 川인데 지극히 깊다는 뜻이다』라 했음.
구연(懼然)[충효가(忠孝歌) 8 페이지 / 전적]
걱정하며.
구연(瞿然)[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5 페이지 / 전적]
놀라 의심하는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