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구몰(俱沒)[고분가 4 페이지 / 전적]

부모가 모두 세상을 떠남.

구몰(俱沒)[초씨션원쳥음가 12 페이지 / 전적]

부모가 모두 세상을 떠남.

구묘(九廟)[송강집(松江集三)3 28 페이지 / 전적]

사당간의 수효를 이름. 禮記 王制篇에 「天子九廟諸侯七廟」

구묘(九廟)[송강집(松江集六)6 6 페이지 / 전적]

사당의 수효를 이름. 禮記 王制篇에 「天子九廟諸候七廟」

구묘(九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4 페이지 / 전적]

「九廟」- 天子는 九廟를 建立하는 것이 전례임. 樂志에「九廟觀德 百靈薦位」

구무자녀(俱無子女) 해로(偕老)커늘[그리져리구경하고 39 페이지 / 전적]

자녀가 없이 부인과 함께 늙어가거늘

구미 용담[교훈가 1 페이지 / 전적]

경북 경주 근교 구미산(龜尾山) 아래의 용담정(龍潭亭).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가 한울님께 무극대도(無極大道)를 내려 받은 곳이다.

구미 용담[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8 페이지 / 전적]

경북 경주 근교 구미산(龜尾山) 아래의 용담정(龍潭亭).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가 한울님께 무극대도(無極大道)를 내려 받은 곳이다.

구미 용담[도슈샤 2 페이지 / 전적]

경북 경주 근교 구미산(龜尾山) 아래의 용담정(龍潭亭).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가 한울님께 무극대도(無極大道)를 내려 받은 곳이다.

구미(口味)[오륜가라 8 페이지 / 전적]

입맛.

구미(口味)[한양가라 38 페이지 / 전적]

입맛.

구미(口味)[소상팔경가 20 페이지 / 전적]

입맛.

구미(口味)[자치가 21 페이지 / 전적]

입맛.

구미(口味)[낙수가 4 페이지 / 전적]

입맛.

구미(口味)[한별곡 13 페이지 / 전적]

입맛.

구미낙서(龜尾洛書)[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8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나라의 우왕(禹王)이 홍수를 다스렸을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거북의 등에 쓰여 있었다는 글. 이것을 바탕으로 우왕이 ‘홍범구주(洪範九疇)’를, 문왕이 ‘후천팔괘’를 만들었다 함.

구미낙서(龜尾洛書)[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9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나라의 우왕(禹王)이 홍수를 다스렸을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거북의 등에 쓰여 있었다는 글. 이것을 바탕으로 우왕이 ‘홍범구주(洪範九疇)’를, 문왕이 ‘후천팔괘’를 만들었다 함.

구미낙서(龜尾洛書)[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7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나라의 우왕(禹王)이 홍수를 다스렸을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거북의 등에 쓰여 있었다는 글. 이것을 바탕으로 우왕이 ‘홍범구주(洪範九疇)’를, 문왕이 ‘후천팔괘’를 만들었다 함.

구미낙서(龜尾洛書)[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8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나라의 우왕(禹王)이 홍수를 다스렸을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거북의 등에 쓰여 있었다는 글. 이것을 바탕으로 우왕이 ‘홍범구주(洪範九疇)’를, 문왕이 ‘후천팔괘’를 만들었다 함.

구미낙서(龜尾洛書)[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9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나라의 우왕(禹王)이 홍수를 다스렸을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거북의 등에 쓰여 있었다는 글. 이것을 바탕으로 우왕이 ‘홍범구주(洪範九疇)’를, 문왕이 ‘후천팔괘’를 만들었다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