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구비(具備)[답가사라(답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있어야 할 것을 빠짐없이 다 갖춤.
구비(具備)[답가사라(답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있어야 할 것을 빠짐없이 다 갖춤.
구비(具備)[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10 페이지 / 전적]
있어야 할 것을 빠짐없이 다 갖춤.
구빈(救貧)[막소가(莫笑歌) 6 페이지 / 전적]
가난한 사람을 구제함.
구빈(救貧)[막소가(莫笑歌) 10 페이지 / 전적]
가난한 사람을 구제함.
구사[팔역가(八域歌) 49 페이지 / 전적]
남한산성에 세운 절
구사(求仕)[경춘곡 4 페이지 / 전적]
벼슬을 구함.
구사(求仕)[경춘곡 4 페이지 / 전적]
벼슬을 구함.
구사(舊事)[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래된 일.
구사당(舊祠堂)[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7 페이지 / 전적]
옛 조상의 위패를 모셔 놓은 집.
구사당에[착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옛 사당에. 사당(祠堂)은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셔 놓은 집이다
구사맹(具思孟)[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8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1531~1604). 자는 경시(景時). 호는 팔곡(八谷). 명종 13년(1558)에 문과에 급제하였고, 좌찬성을 지냄.
구사맹(具思孟, 중종 26, 1531~선조 37, 1604)[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20 페이지 / 전적]
자는 경시(景時), 호는 팔곡(八谷). 유희춘, 이황의 문인. 명종 13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정언 병조좌랑 사간 교리 좌찬성 이조정랑 공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지냈다. 청렴결백하여 권문세가와 접촉을 피했으며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낸 후에 기로소에 들어갔다.
구사일생(九死一生)[추월감 9 페이지 / 두루마리]
아홉 번 죽을 뻔하다 한 번 살아난다는 뜻으로, 죽을 고비를 여러 차례 넘기고 겨우 살아남을 이르는 말.
구산(丘山)[백발가(白髮歌) 9 페이지 / 전적]
언덕과 산을 아울러 이르는 말. 또는 물건이 많이 쌓인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름.
구산(丘山)[춘몽가(츈몽가) 39 페이지 / 전적]
언덕과 산, 또는 산더미.
구산(丘山)[거창가라 21 페이지 / 전적]
물건이 많이 쌓인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구산(丘山)[아림가(娥林歌) 21 페이지 / 전적]
물건이 많이 쌓인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구산(丘山)[춘몽가(츈몽가) 39 페이지 / 전적]
언덕과 산, 또는 산더미.
구산(口算)[답사향곡(답향곡) 7 페이지 / 전적]
입으로 계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