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구면(舊面)[이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이전부터 알고 있는 사람. 또는 그러한 관계.
구면(舊面)[한별곡 23 페이지 / 전적]
알고 지낸지 오래된 처지.
구면목(舊面目)[별한가 30 페이지 / 전적]
오래된 낯익은 얼굴.
구명도생(苟命圖生)[츄억감 2 페이지 / 두루마리]
구차스럽게 겨우 목숨만 이어 나감.
구명도생(苟命圖生)[추월감 1 페이지 / 두루마리]
구차스럽게 목숨을 부지하여 살아감.
구명도생(苟命圖生)[가사소리 27 페이지 / 전적]
구차한 목숨이라도 살아나가기를 꾀함.
구명생[은삭가 5 페이지 / 전적]
생명을 구함.
구명생[은삭가 5 페이지 / 전적]
생명을 구함.
구모(苟慕)하야 취지(娶之)하면[근혼가(謹婚歌) 5 페이지 / 전적]
진실로 탐하여 그것을 취하면.
구모(苟慕)하야 취지(娶之)하면[분별가(分別歌) 1 페이지 / 전적]
진실로 탐하여 그것을 취하면.
구모여[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구무(構誣)내어. 일을 꾸미고 구박함.
구목(丘木)[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12 페이지 / 전적]
무덤가에 있는 나무.
구목위소(構木爲巢)[오륜가라 5 페이지 / 전적]
나무를 엮어 집을 만들다. 즉, 비바람을 겨우 면한 집을 지은 것을 말한다. 옛날에 유소씨(有巢氏)가 처음으로 백성에게 집을 지어 거처하는 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구목위소(構木爲巢)[조심가라 7 페이지 / 전적]
옛날 원시시대 나무 위에 집을 지어 살았음.
구목위소(構木爲巢)[조심가라 7 페이지 / 전적]
옛날 원시시대 나무 위에 집을 지어 살았음.
구목위소(構木爲巢)[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4 페이지 / 전적]
나무를 얽어 집을 지음.
구목위소(構木爲巢)[지리산이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나무를 엮어 집을 만든가드ᇿ 것으로, 비바람을 겨우 면할 집을 지은 것을 이름.
구몰(俱歿/俱沒)[효행가(孝行歌) 4 페이지 / 전적]
부모가 모두 세상을 떠남.
구몰(俱歿/俱沒)[효행가(孝行歌) 6 페이지 / 전적]
부모가 모두 세상을 떠남.
구몰(俱沒)[고분가 4 페이지 / 전적]
부모가 모두 세상을 떠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