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구귀(俱歸)하니[심심가(尋心歌) 34 페이지 / 전적]
모두 돌아가니.
구귀(俱歸)하니[심심가(尋心歌) 34 페이지 / 전적]
모두 돌아가니.
구꿰(九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1 페이지 / 전적]
「九簣」- 書經 旅獒에「爲山九仞 功虧九簣」라 했으니 이는 九簣를 다 채우면 九仞이 되는데 八簣에 그치고 말면 功이 一簣에 이즈러진다는 말임.
구나함불(俱那含佛)[권왕가 50 페이지 / 전적]
나함모니불(俱那含牟尼佛) : 과거 칠불(七佛)의 하나. 오잠바라 나무 아래에서 성도하고, 한 번 설법에 3만의 비구와 아라한을 제도하였다는 부처.
구난공덕(救難功德)[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헐벗은 이에게 옷을 주어 보살피는 공덕.
구난공덕(求難功德)[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10 페이지 / 전적]
어려움을 구제하는 공덕.
구년대수(九年大水)[조심가라 8 페이지 / 전적]
9년 동안 계속되는 홍수.
구년대수(九年大水)[조심가라 8 페이지 / 전적]
9년 동안 계속되는 홍수.
구년수(九年水)[녁대가(녁가) 13 페이지 / 전적]
구년지수(九年之水). 중국 요임금 시절에 9년 동안 비가 내리고 홍수가 나서, 온 세상이 물에 잠겼다고 하는 고사(故事)를 말함.
구년수(九年水)[녁대가(녁가) 15 페이지 / 전적]
중국 요임금 시절에 9년 동안 비가 내리고 홍수가 나서, 온 세상이 물에 잠겼다고 하는 고사(故事)를 말함. 본문에서는 탕임금이 하늘에 빌어 큰 비를 내리게 한 것을 의미함.
구년홍수(九年洪水)[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9년 동안이나 계속되었다는 큰 홍수. 요임금 시절 대홍수가 발생하였는데 당시 섭정(攝政)을 하던 순(舜)이 우(禹)에게 치수(治水)를 명하였음.
구년홍수(九年洪水)[해몽가라(몽가라) 6 페이지 / 전적]
9년 동안이나 계속되었다는 큰 홍수. 요임금 시절 대홍수가 발생하였는데 당시 섭정(攝政)을 하던 순(舜)이 우(禹)에게 치수(治水)를 명하였음.
구년홍수(九年洪水)[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9년 동안이나 계속되었다는 큰 홍수. 요임금 시절 대홍수가 발생하였는데 당시 섭정(攝政)을 하던 순(舜)이 우(禹)에게 치수(治水)를 명하였음.
구년홍수(九年洪水)[입추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구년 동안 홍수가 끊기지 않음.
구담 강산(九潭江山)[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경상북도 안동군(安東郡) 풍천면(豊川面) 구담리(九潭里)를 말함. 낙동강 가에 위치하여 그곳의 위아래에 9소(沼)가 있으므로 구담(九潭)이라 이르게 되었다. 이곳의 고적으로 “담암김선생유허비(潭庵金先生遺墟碑)”가 유명하다. 이는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인 담암 김용석((潭庵金用石)이 무오사화(戊午士禍)를 겪은 후 이곳에 은거하여 후진교육을 하였는데 그 인물을 기린 비이다.
구담((九潭)[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경상북도 안동군(安東郡) 풍천면(豊川面) 구담리(九潭里)를 말함. 낙동강 가에 위치하여 그곳의 위아래에 9소(沼)가 있으므로 구담(九潭)이라 이르게 되었다. 이곳의 고적으로 “담암김선생유허비(潭庵金先生遺墟碑)”가 유명하다. 이는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인 담암 김용석((潭庵金用石)이 무오사화(戊午士禍)를 겪은 후 이곳에 은거하여 후진교육을 하였는데 그 인물을 기린 비이다.
구당(鉤黨)[송강집(松江集一)1 4 페이지 / 전적]
서로 끌어 당겨 도당(徒黨)을 만드는 것. 後漢書에「靈常以爲鉤黨下獄」
구대동거(九代同居)[헌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구세동거(九世同居)와 같은 뜻으로 아홉 대에 걸쳐 이루어진 친족이 한집에 산다는 뜻으로, 집안이 매우 화목함을 이르는 말.
구덕(九德)[망부가 12 페이지 / 전적]
아홉 가지의 덕.충(忠), 신(信), 경(敬), 강(剛), 유(柔), 화(和), 고(固), 정(貞), 순(順)을 이름.
구도자(狗盜者)[명륜가(明倫歌) 102 페이지 / 전적]
‘개 도둑질을 하는 사람’이란 뜻으로, ‘하찮은 재주를 가진 사람’을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