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구미낙서(龜尾洛書)[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7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나라의 우왕(禹王)이 홍수를 다스렸을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거북의 등에 쓰여 있었다는 글. 이것을 바탕으로 우왕이 ‘홍범구주(洪範九疇)’를, 문왕이 ‘후천팔괘’를 만들었다 함.
구미낙서(龜尾洛書)[경화가(警和歌) 10 페이지 / 전적]
하도는 선천, 낙서는 후천이라고 함. 또 64괘로 보면 하도는 상경, 낙서는 하경에 해당함. 즉, 하도는 하늘이고 낙서는 땅임. 그래서 하수를 은하수라고 말할 수 있으며, 십간이 나오고, 낙서는 땅이기 때문에 십이지가 나오는 것임. 하도는 수가 1에서 10이지만 낙서는 1에서 9이다.
구미낙서(龜尾洛書)[경화가(警和歌) 10 페이지 / 전적]
하도는 선천, 낙서는 후천이라고 함. 또 64괘로 보면 하도는 상경, 낙서는 하경에 해당함. 즉, 하도는 하늘이고 낙서는 땅임. 그래서 하수를 은하수라고 말할 수 있으며, 십간이 나오고, 낙서는 땅이기 때문에 십이지가 나오는 것임. 하도는 수가 1에서 10이지만 낙서는 1에서 9이다.
구미산[용담가라 2 페이지 / 전적]
경주시 건천읍 용명리에 있는 산으로 높이가 594m이다. 천도교의 성지가 있다.
구밀복검(口蜜腹劍)[명륜가(明倫歌) 88 페이지 / 전적]
입으로는 달콤함을 말하나 뱃속에는 칼을 감추고 있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친절(親切)하나 마음속은 음흉(陰凶)한 것.
구박(驅迫)[환무자탄가 21 페이지 / 전적]
구박(驅迫) 못견디게 괴롭힘.
구방촌[팔역가(八域歌) 33 페이지 / 전적]
구만촌으로 운조루가 있 곳
구법(九法)[송강집(松江集三)3 23 페이지 / 전적]
주대(周代)에 천하를 다스리기 위하여 베푼 九개의 법률. 周禮에 「制畿封國設儀辨位 進賢與功 建牧立監 制軍喆禁 施貢分職 簡稽鄕民 均守平則 以小事大」
구법(句法)[권학가 4 페이지 / 전적]
시문(詩文)의 구(句)를 만드는 방법.
구변(九變)[막소가(莫笑歌) 17 페이지 / 전적]
아홉 번 변한다.구변(九變)은 구복(九復)과 함께 쓰이며 구변구복(九變九復)으로 일컬어진다.구변구복에는 9×9=81이라는 천부경의 수리가 내포되어 있는데 이는 우주 만물이 새롭게 변화하게 되는 이치를 뜻한다.
구변(九變)[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2 페이지 / 전적]
아홉 번 변한다.구변(九變)은 구복(九復)과 함께 쓰이며 구변구복(九變九復)으로 일컬어진다.구변구복에는 9×9=81이라는 천부경의 수리가 내포되어 있는데 이는 우주 만물이 새롭게 변화하게 되는 이치를 뜻한다.
구변(口辯)[옥셜화답 8 페이지 / 전적]
말 잘하는 재주. 달변(達辯).
구변(口辯)[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9 페이지 / 전적]
언변(言辯). 말을 잘하는 재주나 솜씨.
구변(口辯)[리행소챙가 59 페이지 / 전적]
말솜씨, 언변.
구변(口辯)[로인가 2 페이지 / 전적]
말을 잘하는 재주나 솜씨. 언변(言辯)과 같은 말.
구변(口辯)[옥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언변(言辯). 말을 잘하는 재주나 솜씨.
구변(口辯)[청춘사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언변(言辯)과 같은 말로 말을 잘하는 재주나 솜씨.
구변(口辯)[가사애부가(가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말을 잘하는 재주.
구변(口辯)[초씨션원쳥음가 15 페이지 / 전적]
말을 잘하는 재주나 솜씨.
구변(口辯)[형졔분슈가 7 페이지 / 전적]
언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