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고상(孤想)[문슈동소챵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외롭게 상상하다.

고상앙지(高上仰止)[태평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높은 산이 있으면 누구나 우러러 봄.

고샅[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을의 좁은 골목길. 고샅길

고생(苦生)[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9 페이지 / 전적]

①어렵고 괴로운 가난한 생활(生活) ②괴롭게 애쓰고 수고함.

고생(苦生)[합강정가(合江亭歌) 13 페이지 / 전적]

①어렵고 괴로운 가난한 생활(生活) ②괴롭게 애쓰고 수고함.

고서(古書)[자치가 13 페이지 / 전적]

옛책.

고서증(苦庶症)[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7 페이지 / 전적]

문맥으로 봐서 ‘고자증’으로 읽을 것 같다. ‘庶’는 ‘서자서’에서 ‘자’로 ‘훈(訓)’을 차용하면 ‘고자증’이 가능하다. 여자의 ‘낙태증’과 ‘고자증(생식기가 불완전한 사내)이 대응된다.

고서증(苦庶症)[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7 페이지 / 전적]

문맥으로 봐서 ‘고자증’으로 읽을 것 같다. ‘庶’는 ‘서자서’에서 ‘자’로 ‘훈(訓)’을 차용하면 ‘고자증’이 가능하다. 여자의 ‘낙태증’과 ‘고자증(생식기가 불완전한 사내)이 대응된다.

고서증(苦庶症)[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문맥으로 봐서 ‘고자증’으로 읽을 것 같다. ‘庶’는 ‘서자서’에서 ‘자’로 ‘훈(訓)’을 차용하면 ‘고자증’이 가능하다. 여자의 ‘낙태증’과 ‘고자증(생식기가 불완전한 사내)이 대응된다.

고석(古昔)[유례가(幼禮歌) 3 페이지 / 전적]

오랜 옛날.

고선지휘(顧膳指揮)[충효가(忠孝歌) 21 페이지 / 전적]

반찬을 둘러보며 손가락질 하다.

고성 대성(高聲大聲)[자책가(가) 9 페이지 / 전적]

높고 큰 목소리.

고성(古聖)[충행단국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옛 성인.

고성(高聲)[자책가(가) 22 페이지 / 전적]

높은 목소리. 고성 염불(高聲念佛)을 가리킴.

고성大談 )[충효가(忠孝歌) 22 페이지 / 전적]

큰소리고 서로 떠들어댐.

고성대독(高聲大讀)[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4 페이지 / 전적]

높을 소리로 크게 읽음.

고성대독(高聲大讀)[명궁처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목청을 높여 크고 높은 목소리로 글을 읽음.

고성대질(高聲大叱)[벽천가 32 페이지 / 전적]

크고 높은 목소리로 호되게 꾸짖음.

고성대책(高聲大責)[한양가라 32 페이지 / 전적]

큰 소리로 크게 책망하다.

고성대책(高聲大責)[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큰소리로 몹시 꾸짖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