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구연(懼然)[충효가(忠孝歌) 8 페이지 / 전적]
걱정하며.
구연(瞿然)[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5 페이지 / 전적]
놀라 의심하는 모양.
구연(瞿然)[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5 페이지 / 전적]
놀라 의심하는 모양.
구연(舊緣)[연행별곡(연별곡) 8 페이지 / 전적]
예전에 맺은 인연.
구연성(九連城)[연행별곡(연별곡) 10 페이지 / 전적]
중국 동북부 압록강(鴨綠江) 연안(沿岸)에 있는 옛 성(城).압록강(鴨綠江)에서 25리.의주의 맞은 편에 있는데 한나라 때는 안평구(安平口), 당나라 때는 박작성(泊犳城)인데 금나라 때 간노(幹魯)가 구성(九城)을 쌓아 고려와 대치한 곳임.
구영구역[사친가2(思親歌(二)) 5 페이지 / 전적]
‘꾸역꾸역’을 부드럽게 이르는 말. 어떤 마음이 일면서 치미는 모양.
구예(垢穢)[사친가(事親歌) 36 페이지 / 전적]
때가 묻어 더러움.
구예(垢穢)[자직가(子職歌) 1 페이지 / 전적]
때가 묻어 더러움.
구오(九烏)[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6 페이지 / 전적]
「九烏踆」踆은 三足烏를 말함. 九烏는 곧 九개의 해인데 옛날에는 日中에 三足烏가 있다하여 해를 烏라 일렀음 李白詩에「羿昔落九烏」라 했고 舊傳하기를 하늘에 해가 열이 있었는데羿가 그 아홉을 쏘아 떨어뜨렸다함.
구오룡(九五龍)[낙지가 4 페이지 / 전적]
『주역』의 건괘 구오(九五)에 나오는 용, 즉 나는 용. 또한 구(九)는 양수, 오(五)는 역괘에서 천자의 지위를 나타냄.
구완[권왕가 11 페이지 / 전적]
병구완 ․ 해산구완 등의 통칭.
구완[나부가라(라부가라) 12 페이지 / 전적]
아픈 사람이나 해산한 사람을 간호함.
구완[오륜가 2 페이지 / 전적]
아픈 사람이나 해산한 사람을 간호함.
구완[오륜가라 10 페이지 / 전적]
아픈 사람이나 해산한 사람을 간호함.
구완[오륜가라 10 페이지 / 전적]
아픈 사람이나 해산한 사람을 간호함.
구용(九容)[승차선비가(乘車船飛歌) 3 페이지 / 전적]
군자(君子)가 그 몸가짐을 단정히 함에 있어 취해야 할 9가지 자세.① 경거(輕擧)하지 않는다(足容重).② 단정하여 망동(妄動)하지 않는다(手容恭).③ 정면을 바로 보고 곁눈질을 하지 않는다(目容端).④ 필요하지 않을 때는 입을 다문다(口容止).⑤ 목소리를 가다듬고 기침·재채기 등 잡소리를 내지 않는다(聲容靜).⑥ 고개를 똑바로 하여 한편으로 기울지 않도록 한다(頭容直).⑦ 호흡을 조절하여 엄숙한 태도를 견지한다(氣容肅).⑧ 중립불의(中立不倚)하여 점잖
구용(九容), 구사(九思), 사물잠(四勿箴)[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3 페이지 / 전적]
신체의 아홉 부분의 용자(容姿). 즉, 발은 묵직하고, 손은 공손하며, 눈은 단정하고, 입은 다물고, 소리는 조용하고, 머리는 바르고, 기는 엄숙하고, 서있는 모양은 덕스럽고, 안색은 장중함을 이름, 군자로서 생각하며 갖추어야 할 아홉 가지 일. 즉, 명백하게 볼 것. 똑똑하게 들을 것. 따뜻한 안색을 가질 것. 외모를 단정히 할 것. 믿음이 있는 말만 할 것. 일을 공경하고 삼갈 것. 의심이 나는 것을 물을 것. 분한 일은 사리를 따져 참을 것. 이득
구우면만환우앵(丘隅綿彎喚友鶯)[낙지가 9 페이지 / 전적]
언덕 모퉁이에서 지저귀며 벗을 찾는 꾀꼬리.
구우성(驅牛聲)[몽경시화가(夢警時和歌) 6 페이지 / 전적]
밭갈이 나가는 소의 울음소리.
구우일모(九牛一毛)[자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아홉 마리의 소 가운데 박힌 하나의 털이란 뜻으로, 매우 많은 것 가운데 극히 적은 수를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