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구절간장(九折肝腸)[무제(▩▩▩▩) 9 페이지 / 두루마리]

아홉 번이나 잘린 창자라는 뜻으로 깊은 마음속 또는 시름이 쌓인 마음속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구절장(九節杖)[뎡슝샹회방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구절죽장으로 마디가 아홉인 대나무로 만든, 승려가 짚는 지팡이.

구절죽장(九節竹杖)[옥산가라 10 페이지 / 전적]

마디가 아홉인 대나무로 만든, 승려가 짚는 지팡이.

구절죽장(九節竹杖)[청춘사연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마디가 아홉인 대나무로 만든, 중이 짚는 지팡이.

구절판(九折坂)[연행별곡(연별곡) 13 페이지 / 전적]

촉(蜀) 땅인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험한 비탈길의 이름.

구점口占[ 1 페이지 / ]

읊조림.

구정(九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3 페이지 / 전적]

「九鼎」- 夏禹가 九鼎을 鑄成하여 九州를 象했는데 成湯은 이것을 商邑으로 옮기고 周武王은 洛邑으로 옮겼다. 급기야 秦이 西周를 쳐서 九鼎을 取하였는데 그중 하나는 泗水에 沈入했다는 傳說 이 있고 나머지 八은 뒤에 考할 길이 없다. 三代時에 傳國의 寶가 되어 항상 王都를 따라 遷徙되었으므로 立都를 定鼎이라 稱함.

구정(九鼎)[석천집(石川集二-三)2-3 148 페이지 / 전적]

하(夏)나라의 우왕(禹王)이 구주(九州)에서 구리를 거두어 들여 주조한 솥. 하(夏), 은(殷), 주(周)에 걸쳐 임금의 보물로 보전되었다. 강정(扛鼎)은 솥을 들어 올린다는 뜻으로 힘이 무척 셈을 뜻한다.

구정(九鼎)[거창가 1 페이지 / 전적]

우임금 때 구주(九州)의 쇠를 공물로 받아 주조한 솥으로, 하(夏) ‧ 은(慇) 이래 전해 진 천자의 보물임.

구정(九鼎)[거창가 1 페이지 / 전적]

우임금 때 구주(九州)의 쇠를 공물로 받아 주조한 솥으로, 하(夏) ‧ 은(慇) 이래 전해 진 천자의 보물임.

구정(九鼎)[거창가라 8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나라의 우왕(禹王) 때에, 전국의 아홉 주(州)에서 쇠붙이를 거두어서 만들었다는 아홉 개의 솥.주(周)나라 때까지 대대로 천자에게 전해진 보물이었다고 한다.

구정(九鼎)[아림가(娥林歌) 9 페이지 / 전적]

중국 하(夏)나라의 우왕(禹王) 때에, 전국의 아홉 주(州)에서 쇠붙이를 거두어서 만들었다는 아홉 개의 솥. 주(周)나라 때까지 대대로 천자에게 전해진 보물이었다고 한다.

구정(舊情)[초한가라 28 페이지 / 전적]

옛 정.

구정(舊情)[답사향곡(답향곡) 8 페이지 / 전적]

옛날부터 있어온 정.

구정(舊情)[우미인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지난날의 옛 정.

구정(舊情)[슈양가 6 페이지 / 전적]

옛정.

구정(舊情)[반졀퓨리 2 페이지 / 전적]

옛정.

구정(舊正)[소년애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①음력(陰曆)에 의(依)한 전통적(傳統的)인 설을 양력(陽曆) 설에 상대(相對)하여 이르는 말. 곧, 음력(陰曆) 1월 1일. 설. 설날 ②음력(陰曆) 정월(正月).

구정(舊正)[소년애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①음력(陰曆)에 의(依)한 전통적(傳統的)인 설을 양력(陽曆) 설에 상대(相對)하여 이르는 말. 곧, 음력(陰曆) 1월 1일. 설. 설날 ②음력(陰曆) 정월(正月).

구정물[한양가라 32 페이지 / 전적]

무엇을 씻거나 빨거나 하여 더러워진 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