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구주(九州)[형제이회가(형이회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전 국토를 아홉으로 나눔.

구주(九州)[춘몽가(츈몽가) 31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에 전국을 나눈 9개의 주.요순시대(堯舜時代)와 하(夏)나라 때에는 기(冀)ㆍ연(兗)ㆍ청(靑)ㆍ서(徐)ㆍ형(荊)ㆍ양(揚)ㆍ예(豫)ㆍ양(梁)ㆍ옹(雍)이며, 은(殷)나라 때에는 기ㆍ예ㆍ옹ㆍ양ㆍ형ㆍ연ㆍ서ㆍ유(幽)ㆍ영(營)이고, 주(周)나라 때에는 양ㆍ형ㆍ예ㆍ청ㆍ연ㆍ옹ㆍ유ㆍ기ㆍ병(幷)임.

구주(九疇)[수지장제일 2 페이지 / 전적]

홍범구주(洪範九疇). 서경(書經)의 홍범에 기록되어 있는, 우(禹)가 정한 정치 도덕의 아홉 원칙.

구주(九疇)[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0 페이지 / 전적]

「九疇」- 書經의 洪範九疇를 말한 것임. 周武王이 殷을 滅한十三年後에 箕子를 親히 訪問하여 天道를 물으니 箕子는 洪範九疇로써 陳述하였다. 蔡沈傳에는「洪範이 禹임금에게서 發明되었는데 箕子가 推衍增益하여 成篇한 것이 아닌가 한다」라

구주(九疇治績)[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구주는 홍범구주(洪範九疇)를 가리키는 말로 『서경(書經)』에서 우(禹)임금이 정한 정치 도덕의 아홉 원칙을 말한다.

구주(九疇治績)[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구주는 홍범구주(洪範九疇)를 가리키는 말로 『서경(書經)』에서 우(禹)임금이 정한 정치 도덕의 아홉 원칙을 말한다.

구중[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2 페이지 / 두루마리]

아홉 겹이라는 뜻으로 여러 겹이나 층을 이르는 말.

구중[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2 페이지 / 두루마리]

아홉 겹이라는 뜻으로 여러 겹이나 층을 이르는 말.

구중(九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5 페이지 / 전적]

「九重」- 人君의 所居를 말함. 屈原의 楚辭에「君門兮九重」이란 句가 있음.

구중(九重)[소년애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구중궁궐(九重宮闕)의 준말. 문이 겹겹이 달린 깊은 대궐(大闕).

구중(九重)[소년애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구중궁궐(九重宮闕)의 준말. 문이 겹겹이 달린 깊은 대궐(大闕).

구중(九重)[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문이 겹겹이 이어진 깊은 궁궐이라는 뜻으로 임금이 있는 대궐 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구중(九重)[옥산가라 45 페이지 / 전적]

아홉 겹이라는 뜻으로, 여러 겹이나 층을 이르는 말. 구중궁궐(겹겹이 문으로 막은 깊은 궁궐이라는 뜻으로, 임금이 있는 대궐 안을 이르는 말).

구중(九重)[팔도가 4 페이지 / 전적]

궁궐(宮闕)이라는 뜻.

구중(九重)[팔도가 4 페이지 / 전적]

궁궐(宮闕)이라는 뜻.

구중(九重)[허후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아홉 겹이라는 뜻으로, 여러 겹이나 층을 이르는 말.

구중(九重)[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구중 궁궐.

구중(九重)[낙향이별가 8 페이지 / 전적]

아홉 겹이라는 뜻으로, 여러 겹이나 층을 이르는 말이다.

구중(九重)[거창가라 19 페이지 / 전적]

구중궁궐(九重宮闕).겹겹이 문으로 막은 깊은 궁궐이라는 뜻으로, 임금이 있는 대궐 안을 이르는 말.

구중(九重)[아림가(娥林歌) 19 페이지 / 전적]

구중궁궐(九重宮闕). 겹겹이 문으로 막은 깊은 궁궐이라는 뜻으로, 임금이 있는 대궐 안을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