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구월중구(九月重九)[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기후의 변화 시점에 따라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절기(節氣) 가운데 하나이자 옛 명절의 하나인 음력 9월 9일.

구음(謳吟)[복션화음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사람이 입을 모아 칭송하여 노래함.

구의(摳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13 페이지 / 전적]

「摳衣」-옷 앞자락을 提起한다는 뜻임。禮記 曲禮에「母踐履母踖席 摳衣趍隅」라는 대문이 있음。그래서 後에 師門을 出入할제 쓰는 술어가 되었음。

구의(摳衣)[경장가(敬長歌) 8 페이지 / 전적]

옷을 걷어 올림.

구의(摳衣)[유례가(幼禮歌) 2 페이지 / 전적]

옷을 걷어 올림.

구의봉(九疑峯)[상사가라 9 페이지 / 전적]

창오산의 다른 이름.

구의산(九疑山)[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6 페이지 / 전적]

중국 호남성(湖南省) 영원현(寧遠縣) 남쪽 창오야(蒼梧野)에 있는 산으로, 창오산(蒼梧山)이라고도 함.

구의산(九疑山)[송강집(松江集三)3 23 페이지 / 전적]

순(舜)이 국내(國內)를 순수(巡狩)하다가 구의산(九疑山)에서 돌아갔다

구의산(九疑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25 페이지 / 전적]

「九疑山」―一名은 蒼梧山인데 虞舜의 葬處임. 漢書無帝紀「望祀虞舜于九疑」라 했고 注에 「九疑山 半在蒼梧 半在零陵 其山九峯 形勢相似 故名九疑山」이라 하였음.

구의산(九疑山)[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호남성 영원현(永遠현(縣)에 있는 산. 순임금이 이 산에서 죽었는데, 두 왕비(아황(娥皇)과 여영(女英))가 애타게 순 임금을 찾아 헤맸다고 함.

구의산(九疑山)[차운 17 페이지 / 전적]

지금 중국 호남성(湖南城) 영원현(寧遠顯) 남쪽 창오야(蒼梧野)에 있는 산으로, 모양이 비슷한 아홉 개의 봉우리가 있어 구의산이라 부르며, 창오산(蒼梧山)이라고도 함.

구익일(舊翌日)[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4 페이지 / 전적]

지난 어제. 어제를 말함.

구인(蚯蚓)[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2 페이지 / 전적]

지렁이.

구인격식(求人格式)[반심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일을 하는 데에 필요한 사람을 찾음에 있어 격에 맞는 일정한 방식.

구인산(九仞山)[권션지로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아주 높은 산.

구인산(九仞山)[붕우츠회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산을 쌓는데 약 90퍼센트 이상 쌓은 산.

구인산(九仞山)[도덕구가 3 페이지 / 전적]

산을 쌓는데 약 90퍼센트 이상 쌓은 산.

구인정(九印井)[옥산가라 22 페이지 / 전적]

옥산(玉山) 아래 청수리의 청수교(淸水橋)에서 내려다보면 10호 내외의 적은 마을이 영당(影堂)으로 내려가는 길가에 있는데 이 마을을 ‘새동네’라고 함. 이 마을이 생기기 전에는 이곳을 ‘부소(夫蘇) 모퉁이’라고 하였으며 이 마을 가운데 있는 샘물을 구인정이라고 부름. 옛날에는 부씨와 소씨가 큰 부자로 높은 벼슬을 대대로 하여 아홉 명의 고관이 있었기 때문에 ‘구인정’이라 불려짐.

구인후(具仁垕)[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2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무신(1578~1658). 자는 중재(仲載). 호는 유포(柳浦). 인조반정에 참여하였으며, 심기원의 난을 진압하였다. 벼슬은 병조 판서, 좌의정 등을 지냈다.

구일(九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30 페이지 / 전적]

「九日餻」唐의 詩人 劉夢得이 九日詩를 지으면서 餻의글자를 쓰고 싶었으나 五經中에 이 餻字가 없음으로써 輟하고 만 사실이 있었다. 그래서 宋子京의 詩에 이르기를 「劉郞未敢題餻字空負詩中一世豪」라 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