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장강(長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0 페이지 / 전적]
「覆江」- 沈珍이 姚彪에게 貸鹽을 청하자 姚彪는 百斛의 鹽을 長江에 엎어 버리며 하는 말이 「내가 소금을 아끼는 것이 아니라 주는 것이 아까워서라는 것을 밝힘이라」하였음.
장강(長江)[북쳔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길고 큰 강.
장강만리유도도(長江萬里流滔滔)[한양가라 62 페이지 / 전적]
기나 긴 강물은 도도히 흘러가는데
장강수(長江水)[헌수가(헌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길게 흘러내리는 강. 영원(永遠)의 상징.
장강수(長江水)[헌수가(헌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길게 흘러내리는 강. 영원(永遠)의 상징.
장강활수(長江活水)[의향소창가 17 페이지 / 전적]
넓고 큰 강에 흐르는 물.
장강활수(長江活水)[리행소챙가 10 페이지 / 전적]
넓고 큰 강에 흐르는 물.
장개(壯慨)[화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대단히 분개함.
장개석(蔣介石)[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9 페이지 / 전적]
중국의 군인ㆍ정치가ㆍ중화민국의 총통(1887~1975). 이름은 중정(中正). 쑨원(孫文)에게 배웠으며, 국민당 혁명군 총사령관이 되어 북벌(北伐)에 성공하고 난징(南京) 정부의 실권을 장악하였다. 항일전에 힘썼으며, 헌정(憲政)하의 초대 총통에 취임하였으나 중공과의 전투에 패하여 정부를 대만으로 옮겼다.
장건(張蹇)[사친가1(思親歌(一)) 7 페이지 / 전적]
중국 한대(漢代)의 외교가. 무제(武帝) 때 북방의 흉노족을 견제하기 위하 여 서역의 대월씨(大月氏)와 동맹을 맺고자 그 곳으로 갔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귀국하였음.
장건(張騫)[석천집(石川集二-三)2-3 105 페이지 / 전적]
전한(前漢) 사람. 무제 때에 중위랑(中爲郞)이 되어 월씨국(月氏國)에 동맹을 위한 사신으로 가면서, 도중에 흉노족에게 붙잡혀 10여 년간 포로 생활을 하고 돌아와 대중대부(大中大夫)가 되었다. 나중에 흉노를 치는 위청(衛靑)을 돕고 박망후(博望侯)가 되었다. 이로부터 한(漢)나라와 서북지방의 여러 국가들이 통상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장검(張儉)[송강집(松江集二)2 180 페이지 / 전적]
한(漢)나라 동부도독(東部都督)으로 있으면서 중관(中官) 후람(侯覽)의 비행을 지탄하였던바 람(覽)은 노하여 검(儉)이 당(黨)을 만든다는 죄(罪)로 무고를 하니 망문(望門)으로 망명(亡命)하였다. 그곳 사람들은 간신(奸臣)에게 무고됨을 민망하게 여겨 서로 살 집도 마련하여 주고 그 어짐을 칭송하였다.
장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3 페이지 / 전적]
「長卿」-漢의 文章家인 司馬相如의 字임.
장경(莊敬)[충효가(忠孝歌) 16 페이지 / 전적]
엄숙하게 공경함.
장경(長卿)[석천집(石川集二-一)2-1 12 페이지 / 전적]
漢 司馬相如의 字이니 消渴病이 있어서 평생 고생을 했다
장경(長庚)[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1 페이지 / 전적]
바로 金星의 異稱인데 또한 太白이라도 한다. 李白의 어머니가 꿈에 長∝星을 삼키고 李白을 낳았음. 韓詩에 「太白晨出東方爲啓明 昏出西方爲長∝」이라 하였음.
장경양(張景陽)[석천집(石川集二-三)2-3 14 페이지 / 전적]
진(晉)나라의 장협(張協). 경양(景陽)은 그의 자. 장재(張載)의 제자로 그와 이름을 나란히 했다. 벼슬은 하간내사(河間內史)에 이르렀으나,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그만두고, 세상일에 초연한 시를 지으며 스스로 즐겼다.
장경유(張景猷)[춘몽가(츈몽가) 13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 중엽의 유세가.소진이 일개 서생 출신으로 지모변설로써 공명부귀를 얻어 그 이름을 천하에 떨쳤기 때문에 진나라를 위해 연형책을 썼던 장의와 함께 전국시대 책사의 제1인자로 병칭됨.그의 동생 소대, 소여도 역시 유세가로서 알려짐.
장경유(張景猷)[춘몽가(츈몽가) 13 페이지 / 전적]
조선 말기의 화가인 장승업(張承業).본관은 대원(大元), 자는 경유(景猷)이며, 호는 오원(吾園)·취명거사(醉暝居士)·문수산인(文峀山人).조선 말기의 화가로서 근대 회화의 토대를 마련한 인물.산수와 인물 등을 잘 그렸고 필치가 호방하고 대담하면서도 소탈한 맛이 풍겨 안견(安堅)·김홍도(金弘道)와 함께 조선시대의 3대 거장으로 일컬어짐.
장계(狀啓)[옥셜화답 12 페이지 / 전적]
왕명을 받고 지방에 나가 있는 신하가 자기 관하의 중요한 일을 왕에게 보고하던 일. 또는 그런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