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작지제(作之弟)[경화가(警和歌) 6 페이지 / 전적]

제자를 냄.

작지제(作之弟)[경화가(警和歌) 6 페이지 / 전적]

제자를 냄.

작처(酌處)[기원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죄의 가볍고 무거움을 헤아려 처단함.

작척(作隻)[시절가 6 페이지 / 전적]

척을 짓는다는 뜻으로, 서로 원한을 품고 원수가 되어 시기하고 미워함을 이르는 말.

작청(作廳)[거창가라 22 페이지 / 전적]

길청(廳).군아(郡衙)에서 구실아치가 일을 보던 곳

작청(作廳)[아림가(娥林歌) 23 페이지 / 전적]

길청(廳). 군아(郡衙)에서 구실아치가 일을 보던 곳

작추(昨秋)[연행별곡(연별곡) 9 페이지 / 전적]

지난 가을.

작히[북쳔가 29 페이지 / 두루마리]

어찌 조금만큼만, 얼마나라는 뜻으로 주로 의문문에 쓰여 희망이나 추측을 나타낸다.

잔걱정[김씨효행가 38 페이지 / 두루마리]

자질구레한 걱정.

잔누비[자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잘게 누빈 누비

잔등(殘燈)[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7 페이지 / 전적]

깊은 밤의 희미한 등불.

잔등(殘燈)[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1 페이지 / 두루마리]

깊은 밤의 꺼질락 말락 하는 희미한 등불.

잔등(殘燈)[쥭매곡(쥭곡) 3 페이지 / 전적]

꺼지려고 하는 등. 또는 깊은 밤의 희미한 등불.

잔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0 페이지 / 전적]

「拔茅彙征」― 易 泰의 初九에 「拔茅茹 以其彙征吉」이라 하였는데 傳에 「때가 否하면 君子가 물러가 窮하게 處하고 때가 이미 泰하면 뜻이 上進에 있나니 君子가 나아가게 되면 반드시 그 朋類와 서로 牽援하여 잔디의 뿌리와 같이 하나만 뽑으면 牽連하여 일어난다. 茹는 뿌리가 서로 얽힌 것을 말한다」라 하였음.

잔디찰방(察訪)[자치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무덤의 잔디를 지킨다는 뜻. 죽어서 땅에 묻힘을 완곡하게 이르는 말.

잔디찰방(察訪)[잣치가라(치라) 20 페이지 / 전적]

무덤의 잔디를 지킨다는 뜻.죽어서 땅에 묻힘을 완곡하게 이르는 말.

잔디찰방(察訪)[소상팔경가 11 페이지 / 전적]

무덤의 잔디를 지킨다는 뜻.죽어서 땅에 묻힘을 완곡하게 이르는 말.

잔디찰방(察訪)[자치가 13 페이지 / 전적]

무덤의 잔디를 지킨다는 뜻.죽어서 땅에 묻힘을 완곡하게 이르는 말.

잔류남교(殘柳南橋)[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2 페이지 / 전적]

봄이 지나고 버드나무가지가 성기게 남아있는 남쪽 다리.

잔류남교(殘柳南橋)[추풍감곡(秋風感曲) 3 페이지 / 전적]

잎이 진 버드나무가 있는 남쪽 다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