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장계(狀啓)[셔유곡 10 페이지 / 전적]
왕명을 받고 지방에 나가 있는 신하가 자기 관하(管下)의 중요한 일을 왕에게 보고하던 일. 또는 그런 문서.
장계(狀啓)[벽천가 66 페이지 / 전적]
왕명을 받고 지방에 나가 있는 신하가 자기 관하(管下)의 중요한 일을 왕에게 보고하던 일.
장계(狀啓)[옥단춘전이라 51 페이지 / 전적]
왕명을 받고 지방에 나가 있는 신하가 자기 관하(管下)의 중요한 일을 왕에게 보고하던 일. 또는 그런 문서.
장계(狀啓)[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7 페이지 / 전적]
왕명을 받고 지방에 나가 있는 신하가 자기 관하의 중요한 일을 왕에게 보고하던 일. 또는 그런 문서.
장계(狀啓)[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0 페이지 / 전적]
벼슬아치가 임금의 명을 받들고 지방(地方)에 나가 민정을 살핀 결과(結果)를 글로 써서 올리던 보고(報告), 계본(啓本).
장공[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82 페이지 / 전적]
「張也」―論語 子張篇에「堂堂乎張也」라는 대문이 있으므로 상대가 張生인 때문에 빌려 쓴것임。
장공예((張公藝)[헌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당나라 때 사람으로 『채근담(菜根譚)』에 소개된 인물.
장공예(張公藝)[춘화추동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당나라 운주(鄆州) 수장현(壽張縣)사람. 九세대가 한 집에서 같이 살았으므로 제, 수, 당나라를 거치면서 매 왕조마다 문중에 정려문을 세워 표창하였다.
장공하(張公夏)[석천집(石川集二-一)2-1 43 페이지 / 전적]
張公夏의 집에 배가 있어 그 맛이 천하에 제일 좋았다
장관(壯觀)[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훌륭한 광경. 또는, 훌륭하고 장대(壯大)한 경관.
장교(長橋)[석천집(石川集二-三)2-3 58 페이지 / 전적]
하남성(河南省) 임장현(臨漳縣) 동쪽 장수(漳水)에 있다.
장구(杖屨) 천동(遷動)[ 1 페이지 / ]
지팡이와 짚신, 또는 이름난 사람의 머무른 자취. 움직여 자리를 옮기는 일.
장구(杖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8 페이지 / 전적]
「杖屨」- 杖은 老人의 所用으로 步行을 돕는 것이요, 또 옛날에는 땅에 자리를 깔고 앉으므로 戶內에서는 신을 신지 아니하고 外出할 때만 신게 되기 때문에 杖屨는 出行의 必需로 되어항상 併擧함. 禮記 曲禮에 「侍坐於君子 君子欠伸 撰杖屨視日蚤莫侍坐者 請出矣」라 했음. 杖屨를 모신다는 말은 長者에 대한 敬語임.
장구(杖屨) 천동(遷動)[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1 페이지 / 전적]
지팡이와 짚신, 또는 이름난 사람의 머무른 자취. 움직여 자리를 옮기는 일.
장구(杖屨), 천동(遷動)[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0 페이지 / 전적]
지팡이와 짚신, 또는 이름난 사람의 머무른 자취, 움직여 자리를 옮기는 일.
장구(杖屨),천동(遷動)[자경별곡 14 페이지 / 전적]
지팡이와 짚신, 또는 이름난 사람의 머무른 자취. 움직여 자리를 옮기는 일.
장구(章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5 페이지 / 전적]
「章句」-古書의 章節 句讀을 分析한 것을 이름. 이를테면 漢書藝文志에 실린 書의 歐陽章句, 夏候章句 春秋의 公羊章句, 穀梁章句가 다 이것이며 朱子의 大學章句,中庸章句도 同一함.
장구(長久)[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2 페이지 / 전적]
길고 오램.
장구(長久)[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2 페이지 / 전적]
길고 오램.
장구(長久)[로인가 10 페이지 / 전적]
매우 길고 오래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