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장량(張良)[창덕가2 84 페이지 / 전적]
장량은 중국 한나라의 정치가이자, 건국 공신.자는 자방(子房).시호는 문성(文成)이다.소하(蕭何)·한신(韓信)과 함께 한나라 건국의 3걸로 불림.
장력(壯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1 페이지 / 전적]
씩씩하고 굳센 힘.
장령(掌令)[로인가 11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사헌부(司憲府)에 속한 정사품 벼슬.
장령(掌令)[동상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헌부(司憲府)의 정4품(正四品)의 한 벼슬.
장령(掌令)[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0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정4품의 벼슬.
장례 행차(葬禮行次)[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3 페이지 / 전적]
장사 지내는 일로서의 행차. 일본 대마도(對馬島)에 유배되어 단식사(斷食死)한 우리나라 배일파(排日派)의 거두 최익현(崔益鉉) 선생의 장례 행차를 가리킴
장례원(掌隷院) 판결사(判決事)[옥셜화답 13 페이지 / 전적]
장례원은 조선 시대에 공사(公私) 노비 문서의 관리와 노비 소송을 맡아보던 관아로서, 판결사는 장례원의 으뜸 벼슬인 정삼품 당상관(堂上官)임.
장로 선사(長老禪師)[권왕가 45 페이지 / 전적]
덕행이 높고 나이가 많은 중. 선사(禪師) : 중의 높임 말. 선종(禪宗)의 법리(法理)에 통달한 중.
장로(莊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29 페이지 / 전적]
「莊老」―老子와 莊子의 合稱임.
장로(長老)[입추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나이가 많고 덕이 높은 사람. 여기서는 집안 어른을 뜻함.
장롱(欌籠)[사친가2(思親歌(二)) 4 페이지 / 전적]
옷 따위를 넣어 두는 장과 농의 총칭.
장롱(欌籠)[사친가2(思親歌(二)) 10 페이지 / 전적]
옷 따위 등을 넣어두는 장과 농.
장륙 팔척(丈六八尺)[권왕가 19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218 참조.
장륙(丈六)[권왕가 17 페이지 / 전적]
장륙불(丈六佛). 높이가 일장 육척(一丈六尺)의 불상을 일컫는 말. 팔척(八尺) : 팔척불(八尺佛). 8척이나 되는 매우 큰 부처를 두고 이름.
장릉[팔역가(八域歌) 19 페이지 / 전적]
조선 제 6대 단종의 묘
장릉(莊陵)[한양가라 47 페이지 / 전적]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에 있는 단종(端宗)의 묘.
장릉(莊陵)[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8 페이지 / 전적]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있는, 조선 단종의 능. 사적 제196호이다.
장릉(長陵)[송강집(松江集五)5 154 페이지 / 전적]
인조능(仁祖陵)
장릉(長陵)[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4 페이지 / 전적]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에 있는 조선 인조와 인열왕후의 능.
장릉(長陵)[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6 페이지 / 전적]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에 있는 조선 제16대왕 인조와 그의 비(妃) 인열왕후 한씨(仁烈王后韓氏)의 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