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장문(狀聞)[초한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장계(狀啓)를 올려 임금에게 아룀. 또는 그 글.

장문(狀聞)[초한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장계(狀啓)를 올려 임금에게 아룀. 또는 그 글.

장문(狀聞)[갑지녹이라 6 페이지 / 전적]

임금에게 아뢰는 글.

장미화(薔薇花)[송강집(松江集三)3 20 페이지 / 전적]

미원(薇院)인 때문임

장미화(薔薇花)[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장미과 장미속의 관목을 통틀어 이르는 말.

장미화(薔薇花)[조심가라 4 페이지 / 전적]

장미꽃.

장미화(薔薇花)[조심가라 4 페이지 / 전적]

장미꽃.

장발(長髮)[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4 페이지 / 전적]

「長髮」- 則天武后를 말함. 처음 唐 高宗이 太子로 있을 적에太宗을 入侍하다가 才人 武后를 보고 마음으로 좋게 여겼다.太宗이 崩하자 武氏는 衆을 따라 感業寺에서 尼가 되었는데忌日에 上(高宗)이 寺에 나아가 行香하다가 서로 보게 되어 武氏가 우니 上도 울었다. 皇后 이말을 듣고서 가만히 武氏로하여금 長髮하게 하고 上에게 勸하여 後宮으로 받아들이게 하였다. 이는 蕭淑妃의 寵幸을 갈라놓자는 심산이었는데 마침내禍胎가 되었음.

장방(長房)[당산조션가 8 페이지 / 전적]

너비보다 길이가 드러나게 긴 큰 방.

장배(杖配)[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3 페이지 / 전적]

장류(杖流)와 같은 말로 장형(杖刑)과 유형(流刑)을 아울러 이르던 말.

장백(壯魄)[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4 페이지 / 전적]

장한 혼백.

장백산[팔역가(八域歌) 5 페이지 / 전적]

백두산의 다름 이름

장벽(墻壁)[권학가 6 페이지 / 전적]

벽장. 담과 벽.

장변리(場邊利)[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9 페이지 / 전적]

장변(場邊). 장에서 꾸는 돈이나 이자.

장변리(場邊利)[아림가(娥林歌) 31 페이지 / 전적]

장변02(場邊).

장병(長病)[권왕가 46 페이지 / 전적]

장질(長疾). 오랜 병.

장보(章甫)[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6 페이지 / 전적]

冠의 이름임. 禮記 儒行에 「斤少居魯 衣縫掖之衣 長居宋 冠章甫之冠」이라 하였고 孫希旦集解에 「章甫는 殷나라 玄冠의 이름인데 宋人이 冠을 한 것은 이른바 그 禮物을 닦는다는 것이다」하였음.

장보고(張保皐)[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1 페이지 / 전적]

통일 신라 시대의 장군(?~846). 본명은 궁복(弓福)ㆍ궁파(弓巴). 중국 당나라에 건너가 무령군(武寧軍) 소장(小將)이 되어 활약하였으며, 귀국 후 청해진 대사(大使)로 임명되어 황해와 남해의 해상권을 장악하고 당나라와 일본으로 왕래하며 동방 국제 무역의 패권을 잡았다.

장복(長服)[자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같은 약이나 음식을 오랫동안 계속해서 먹음.

장복(長服)[자치가라 24 페이지 / 두루마리]

약이나 음식을 오랫동안 계속해서 먹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