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장락궁(長樂宮)[슈절자탄가 12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나라 고조가 진(秦)나라의 흥락궁(興樂宮)을 고쳐 지은 궁전. 그 안에 태후의 거처였던 장신궁이 있었다.
장락궁(長樂宮)[간양되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한(漢)나라 고조가 진(秦)나라의 흥락궁(興樂宮)을 고쳐 지은 궁전. 그 안에 태후의 거처였던 장신궁이 있었음.
장래(將來)토록[자탄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래도록.
장래분복(將來分福)[명궁처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선천적으로 타고난 복.
장래사(將來事)[노처녀가1(老處女歌 (一)) 4 페이지 / 전적]
장차 닥쳐올 일이나 해야 할 일.
장략[팔역가(八域歌) 25 페이지 / 전적]
씩씩한 지략
장략(將略)[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5 페이지 / 전적]
장수로서의 지략과 기량.
장략(將略)[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장수로서의 지략과 기량.
장략(將略)[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장수로서의 지략과 기량.
장략(將略)[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장수로서의 지략과 기량.
장량[석천집(石川集二-五)2-5 6 페이지 / 전적]
전한(前漢)의 공신. 황석공(黃石公)으로부터 태공(太公)의 병서를 받고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의 신하가 되어 진(晋)나라를 멸망시키고 초(楚)나라를 평정하여 한(漢)나라를 세우는 데 공헌함
장량(張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1 페이지 / 전적]
「張良」―字는 子房이요 집안이 五世를 韓나라에 벼슬하였다. 그래서 韓을 위해 원수갚기를 꾀하여 秦始皇을 博浪沙에서 椎擊한바 副車에 誤中하였다. 漢高祖가 起兵하자 良은 항상 畵策을 했고 그가 卽位하자 功으로써 留侯의 封을 받았으며 늦게는 黃老를 좋아하여 神仙辟糓의 術을 배웠음.
장량(張良)[석천집(石川集二-三)2-3 127 페이지 / 전적]
한(漢)나라 사람 장자방(張子房). 그 선조는 한인(韓人)인데, 진(秦)나라가 한(韓)을 멸망시키니 장량은 가산을 털어 자객을 구해 진시황을 죽여 한(韓)의 원수를 갚으려 했다. 그는 역사(力士)를 구해 박랑사(博浪沙)에서 진시황을 저격했으나, 부거(副車)만 맞추는데 그치고 진시황은 황급히 장량을 잡으려 했다. 이에 장량은 이름을 바꾸고 하비(下邳)에 숨어 지내면서 이상노인(圯上老人)으로부터 태공병법(太公兵法)을 익혀 마침내 한고조(漢高祖)를 도와 천하
장량(張良)[자치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한(漢)나라 때의 재상 장자방(張子房)을 말함.
장량(張良)[춘화추동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유방이 성을 공략할 때 기지로 큰 공을 세우는 것.
장량(張良)[춘몽가(츈몽가) 27 페이지 / 전적]
중국 후베이성 무창현(무한)의 서쪽, 한양문 내의 황학산상 위에 있었던 고전(高殿).삼국(三國) 촉(蜀)의 비문위(費文褘)가 신선이 되어 황학을 타고 와서 여기서 쉬었다는 고사에 의하여 이렇게 부르며, 당시(唐詩)에 자주 등장함.
장량(張良)[잣치가라(치라) 22 페이지 / 전적]
한(漢)나라 때의 재상 장자방(張子房)을 말함.
장량(張良)[소상팔경가 10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나라의 정치가로 소하(蕭何)·한신(韓信)과 함께 유비를 도와 한나라 건국의 3걸 중의 한 분이다.
장량(張良)[창덕가2 83 페이지 / 전적]
장량은 중국 한나라의 정치가이자, 건국 공신.자는 자방(子房).시호는 문성(文成)이다.소하(蕭何)·한신(韓信)과 함께 한나라 건국의 3걸로 불림.
장량(張良)[춘몽가(츈몽가) 27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전한(前漢) 창업(創業)의 공신(功臣).한(韓)의 세족(世族).자는 자방(子房).유 방(劉邦)의 모신(謀臣)으로 공을 세우고 우휴(留侯)에 책봉(冊封)됨.소하(蕭何)ㆍ한신(韓信)과 함께 한(漢)나라 창업(創業)의 삼걸(三榤)이라 이름.